두 단체는 "완주-전주 상생방안으로 지난 5월부터 시작된 완주-전주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가 통합이 무산되면서 주민들에 대한 보복조치로 돌연 폐지되었다"며 "완주와 전주지역 주민들의 교통복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요금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요금 단일화 방법은 전주시와 완주군이 이용률에 따라 분담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두 단체는 "시내버스 단일요금제 폐지는 전주·완주 모두에게 손해이고 피해"라며 "양 자치단체는 행정협의회를 구성해 각 자치단체의 이용률에 따라 요금을 분담하자"고 설명했다.
완주발전군민협의회는 "전주시가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를 폐지하기에 앞서, 완주군에 세 번에 걸쳐 예산 분담을 요구했지만 완주군은 '예산이 없다'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협의회가 요청한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관련 면담도 완주군이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통합을 반대했으니 반대한 사람들이 책임지라는 자세는 오기 행정"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완주군은 "불안정한 버스 운행에 대해 오지 마을버스 확대 운행과 기존 노선의 시내버스 운행권 관계 등 다각적인 개선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그러나 완주군은 이번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요구는 전국 버스요금 체계의 근간을 흔드는 일로 단순한 지원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고 밝혔다.
군은 "버스요금 단일화 요구는 수익자 부담원칙에도 어긋나고 전국적으로도 시행 사례가 없는 일"이라며 "만약 완주군이 이를 시행했을 경우 전국적인 교통체계의 혼란이 야기될 것"이라고 말했다.
군은 또 버스요금 단일화 비용을 완주군이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모든 예산은 법적인 지원근거와 명분이 있어야 하는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규정이 없다"고 강조했다.
일부 주민과 시민단체에서 통합 무산에 대한 대주민 보복조치라는 주장과 관련해서도 "보복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는데 군민을 위한 정책을 시행함에 있어 이는 동의할 수 없으며 있을 수도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