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사, 주차걱정 끝" 무인 발렛파킹기술 개발

"도와줘, 키트!" 1982년 방영됐던 미드 '전격Z작전'에서는 위험에 빠진 주인공이 손목시계를 통해 호출하면 언제 어디서든지 달려와 구해주는 인공지능 자동차가 나온다.

 

 국내 연구진이 영화에서처럼 스마트폰을 통해 차를 불러오고, 자동으로 주차까지 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차 안에 달린 5개의 카메라 센서와 10여개의 초음파 센서가 주차면에 설치된 센서와 감응해 완전 자동 주차를 유도할 수 있는 기술을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운전자가 도로에 차를 세운 뒤 스마트폰으로 건물의 주차장 관리서버에 접속하면, 자동차가 영상센서로 주차공간을 찾아내 스스로 주차장소로 향하는 무인 발렛파킹 기술이다.

 

 이 소프트웨어를 전자제어장치(ECU)로 만들어 장치 안에 내장한 뒤 앱을 내려받아 실행시키기만 하면 된다.

 

 다만 주차장 내 지도 등을 갖춘 자동주차관리시스템이 깔린 곳에서 이용 가능하다.

 

 아이가 아파 응급실에 가야 하거나, 공항과 같이 넓은 공간에서 주차 공간을 찾아야 하는 상황에서 스마트폰으로 명령만 내리면 자동차가 알아서 주차한 뒤 스마트폰으로 주차된 위치와 주변 영상을 전송해준다.

 

 주차 공간을 찾아다니느라 드는 연료를 절감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뿐만 아니라, 1∼3㎞의 속도로 달리며 장애물을 감지하기 때문에 주차장 내의 교통사고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정단 ETRI 자동차인프라협력연구실장은 "앞으로 5년 안에 이번 기술을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이를 위해 현재 1천만원에 달하는 부품 값을 20% 수준으로 줄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ETRI는 2018년 열리는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이번 기술을 무인 셔틀에 탑재해 시연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자동발렛파킹을 위한 센서기반 공간인지 및 자동주행기술개발' 과제로 수행됐으며, 연구진은 지난 4년간의 연구를 통해 국제특허 10편을 출원하고, 30여편의 논문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