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가 들어서는 주변 중소도시의 주거환경 악화 및 부동산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8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지자체 담당자와 지역 전문가 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혁신도시가 입지한 지자체는 주거 질 개선 등의 긍정적 효과가 예상되지만 주변 10㎞ 이내 지역 중소도시는 인구 유출 및 지역경제 위축에 따라 주거환경이 악화될 것으로 조사됐다.
혁신도시는 전국 10곳으로 전북, 부산, 대구, 광주, 전남, 울산, 강원, 충북, 경북, 경남, 제주에 각각 1개의 혁신도시가 건설된다.
이 가운데 전북혁신도시의 경우 중소도시 인접형 도시로 분류, 인근 전주시와 완주군, 김제시의 주거 질 영향을 악화시킬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전북혁신도시로 인한 주변 중소도시 악영향을 막기 위해 단기적으로는 재정지원 및 조례 등 권한강화가 필요하고 중장기적으로 지속적 모니터링 및 조례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혁신도시의 건설이 마무리될 때까지 가장 중점을 둬야 할 사항으로는 공공기관 종사자의 안착(37%), 혁신도시 안정적 완료(30.2%)를 꼽았다.
혁신도시 건설이 종료된 이후에는 주변지역과의 연계·균형발전(39.5%)과 혁신도시의 안정적 성장(32.1%)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다.
혁신도시와 주변지역의 관리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혁신도시건설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주변지역과의 연계·균형발전을 위한 기반시설의 조기공급(22.8%), 재정지원 강화(22.8%)가 필요하다는 응답 비중이 높았다.
혁신도시 건설이 끝난 이후 중장기적으로는 인근 지역에 대한 조사와 모니터링(23.2%), 종합적 관리를 위한 조례제정 등 지자체 권한 강화(20.3%)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지방에 건설하는 혁신도시는 낙후된 지역의 거점으로 개발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혁신도시건설이 안정적으로 마무리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러나 개발 진행과정에서 주변지역의 산업이나 인적자원 유입이 불가피한 점에서 중장기적으로 주변지역과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