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환 교육감의 성공한 정책으로 꼽히는 ‘전북형 혁신학교’가 삐걱거리고 있다.
전북형 혁신학교 1기로 지정된 20곳 가운데 4곳이 기준점수에도 미치지 못하는 평가를 받은 데다, 전북교육청은 이들 학교에 대해 재지정을 철회하지 않은 대신 극히 이례적으로 유보 쪽으로 방침을 정했기 때문이다.
전북교육청과 혁신학교운영위(이하 운영위)는 2일 교육종합연구소(소장 유평수)의 ‘전북 제1기 혁신학교 종합평가’를 토대로 20곳 중 16곳은 재지정, 4곳은 유보한다고 확정했다. 운영위는 당초 재지정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 4곳에 대해 탈락을 요구한 반면 전북교육청은 현장조사를 전제로 유보결정을 강력하게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교육종합연구소는 지난해 10~11월 총 6개 영역, 32개 요소에 대해 학생·학부모·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면담하는 형식으로 혁신학교 종합평가를 진행했었다. 그 결과 20곳 중 4곳의 경우 경험교사들이 부족하고, 수업혁신 등도 부실해지는 등 대체적으로 운영위의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전북교육청이 일부 혁신학교에 대해 재지정 유보결정을 내린 것은 김승환 교육감의 선거를 의식한 결정 아니냐’고 지적하고 있다.
혁신학교가 김 교육감의 핵심 성과 중 하나로 거론된다는 점에서 초기 혁신학교 성공 모델로 홍보됐던 학교들이 탈락될 경우 혁신학교의 추진 명분이 빛바랠 수 있다는 것. 전북교육청이 재지정 기준에 미달한 혁신학교를 탈락시키는 대신 유보결정을 내린 것은 거의 전례가 없는 정책 결정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한편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지난 2012년 전라북도 혁신학교 운영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계기로 혁신학교를 3년 단위로 평가하고 있으며, 일반학교와 비교할 때 매우 엄격한 기준”이라면서도 “행정적 측면에서 보면 4곳은 탈락시키는 게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교육적 측면에서 보면 학교의 변화가 2년 만에 결실을 맺기 어렵다는 점에서 감안한 결정”이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제1기 혁신학교 재지정이 유보된 4곳은 운영위의 현장실사 뒤 29일 최종 확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전북교육청은 ‘학급당 학생수를 줄이고, 교사에게 교육과정·학생평가에 대한 자율권을 확대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혁신학교를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101곳을 지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