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에 이어 새해 들어서도 도내 공공공사 발주 물량이 극히 미미해 도내 건설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공공공사 물량 부족에 이어 민간 건설공사 물량마저 극소수여서 도내 건설업계의 ‘혹한기’가 예고되고 있다.
조달청은 이번 주 전국의 공공 건설공사 물량 28건에 대한 공사입찰을 진행한다. 공사 총금액은 1985억 원으로 각 지역별 공사 입찰이 진행되지만 전북의 경우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주중 공공 건설공사 물량이 없는 지역은 전북을 포함해 부산·대구 등 모두 3곳이다.
전북의 경우 지난 2009년 공공공사 발주물량이 1419건에서 2010년 1379건, 2011년 1149건으로 줄었고, 2012년 1388건으로 반짝 증가했지만 2013년 1181건으로 감소하는 등 감소추세가 이어지면서 혹독한 시련을 치르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도내 일반건설 업체 665개사 가운데 지난 한 해 동안 공공공사를 단 한 건도 수주하지 못한 업체가 전체의 30%에 육박하는 187개로 나타나는 등 건설업계는 현재 처한 상황을 ‘제2의 IMF’로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 일반 공사 물량마저 원룸 신축이나 건축물 리모델링, 수리 개보수 등의 소액 공사만 진행되고 있어 사실상 개점휴업중인 건설업체들이 증가할 전망이다.
도내 건설업계 사정이 이렇다보니 건설업체 조차도 무리한 사업추진을 피하기 위해 신규 투자를 꺼리고 있는 분위기다. 지금 같은 시기에 자칫 자금 회전 어려움으로 인한 부도 사태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도내 건설업계는 임금체불은 물론 공사대금을 지불하지 못해 각종 법정소송에 시달리고 있는 게 도내 건설업이 처한 현실이라고 하소연하고 있다.
건설협회 관계자는 “하루에도 다수의 건설업체들이 어음을 막지 못해 부도위기에 시달리고 있고 공사 물량이 없어 빈 사무실을 지키는 업체도 수두룩하다”며 “그나마 일부 공사가 있어도 적정공사비 확보가 어려워 적자 공사를 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