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교육부가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를 철회한 전국 20개 고교를 대상으로 특별조사를 진행한 결과 ‘일부 학교에서 외압이 있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8일자 2면 보도)
전북 지역에서도 자립형 사립고인 상산고가 당초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했다가 철회했다는 점에서 이같은 외압 논란은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8일 ‘한국사 교과서 선정 변경 관련 특별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일부 학교의 경우 시민·교직단체의 항의 방문·시위, 조직적 항의 전화 등을 외압으로 판단했다”면서 “시민사회단체 등의 특정 교과서 선정 결과에 대한 일방적 매도로 인한 부담감과 학교 현장의 혼란 방지 등을 위해 교과서 선정을 변경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교과서 파문의 여진은 지난 6일 마무리된 교과서 수정 주문과 교과서를 둘러싼 법적 다툼 등으로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수정명령을 받은 6개 교과서 집필진들이 지난해 12월 교육부를 상대로 낸 수정명령 집행정지 신청은 기각됐으나 본안소송인 수정명령 취소소송은 현재진행형이다. 또 위안부 피해자 등 9명이 교학사 교과서의 배포를 금지해 달라며 교학사를 상대로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