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탄소학회는 14일 국제탄소연구소에서 기업인과 지역주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공청회를 개최하고, 전주시로부터 의뢰받은 ‘전주권 탄소산업권역 기본구상사업’용역의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나선 한국탄소학회 이영석 총무(충남대 교수, 정부 탄소산업 자문위원)는 이날 탄소산업 전문가(22명)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전주시가 국내의 탄소산업을 선도하는 첨단산업도시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탄소소재를 도내 다른 지역의 전략사업과 연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전주권 탄소산업권역 설정 및 생산거점 확대 방안으로 조선해양과 풍력산업은 군산·새만금, 자동차 산업은 전주와 군산·익산·완주권, 태양광 산업은 군산과 익산·완주권에 배치하는 등 구체적인 권역별 연계방안을 제시했다.
이 교수는 “전주권 탄소산업권역 집적화를 통해 오는 2020년까지 대기업 2~3개 이상, 중견·중핵기업 20개이상, 6000여명의 고용유발 효과 등 국내 최고 탄소기술 및 생산 거점도시화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설문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탄소산업에 대한 전주시의 육성의지와 연구 인프라, 대기업 유치, 첨단고부가치산업인 탄소산업의 비전 등을 들며 전주시가 탄소산업 메카로 성장할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그러면서 선진국 산업인 탄소산업에 대한 국가 지원 및 인프라 부족, 우수 인력양성 등을 향후 과제로 지적했다.
또한 탄소 관련 기업유치를 위해 전주시 팔복동에 친환경복합산단을 조성하려는 전주시 계획을 정부가 재검토 결정한 것에 대해 “탄소산업 집적화와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정부의 재검토 결정은 철회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전주시는 이번 공청회에서 제시된 전주권 탄소산업권역 기본구상사업 비전에 대한 실천방안을 구체화하고, 전주시 탄소산업 전반에 대한 정책수립에 반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