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단체 통합 논의 다시 불 붙나

엘리트-생활-장애인 체육회, 필요성 공감 / 여야, 사실상 합의…地選 후 본격화 전망

엘리트체육과 생활체육, 장애인체육으로 구분돼 있는 체육단체의 통합이 올 지역체육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를 전망이다.

 

특히 체육단체의 통합 필요성은 엘리트 체육계나 생활체육계가 모두 대체적으로 공감하고 있는 사안이어서 6월 지방선거가 끝나고 나면 각 단체의 주도권 잡기 등 신경전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도내 체육계에 따르면 문화관광체육부는 올부터 체육단체 통합작업을 시작해 오는 2016년까지 중앙과 지방단위 통합을 마무리한 뒤 2017년 1월부터 새로운 체제로 운영할 방침이다. 체육단체의 통합은 당초 지난해 11월 시도체육회사무처장협의회가 지방체육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건의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이를 수용하면서 가시화 됐다.

 

엘리트체육과 생활체육의 분리 운영은 세계적으로도 우리나라와 쿠바, 북한만이 가진 기형적인 구조로 많은 예산낭비와 비효율을 초래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현재 3개 체육단체의 행정조직이나 각종 대회, 프로그램 등이 서로 유사하고 관련성이 많아 통합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체육단체 통폐합이 쉽사리 이뤄지지 못한 것은 체육단체간 이해관계와 통합때 뒤따를 수 있는 구조조정 등의 부작용때문에 누구도 쉽게 나서지 못했기 때문이다.

 

전북도와 대전시, 울산시가 3년여전에 통합을 추진했으나 전북도와 대전시는 불발되고, 울산시는 내부적으로 통합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체육단체 통폐합 추진은 여야가 사실상 합의한 사안이어서 그 어느때보다 성사 가능성이 높은 실정이다. 여야는 조만간 생활체육진흥법을 고쳐 현재 임의단체로 되어 있는 생활체육회를 지원단체로 바꾼 뒤 엘리트체육을 맡고 있는 체육회와 대등한 입장에서 통합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국민생활체육회는 이미 통합을 위한 T/F팀을 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도내 시군체육회의 경우, 임실군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현재 엘리트와 생활체육을 통합 운영하고 있다. 수영종목의 경우, 엘리트체육과 생활체육을 맡은 회장이 동일인이어서 사실상 통합 운영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도체육회와 생활체육회, 장애인체육회의 사무처장을 포함한 직원수는 각각 15명과 12명, 8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