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 개인정보 유출로 2차 피해가 우려되는 가운데 경찰이 개인정보를 부실 관리하는 업체에 대한 수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성한 경찰청장은 27일 전국 지방경찰청장 화상회의를 주재하고 개인정보 유출사범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당부하며 이같이 지시했다.
이 청장은 "개인정보를 팔아넘기는 브로커와 개인정보 수요처 중심으로 집중 단속을 벌여 개인정보 유통 시장이 형성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정보유출 사범은 물론 개인정보를 부실하게 관리하는 업체에 대해서도 수사를 강화해 달라"고 주문했다.
그는 "개인정보 유출은 직접적인 금융범죄 외에도 보이스피싱과 스미싱 등 광범위한 피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고 사회의 신뢰를 심각히 훼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대한 문제"라며 현재 시행 중인 '개인정보 침해사범 특별 단속'을 차질 없이 수행할 것을 지시했다.
경찰은 최근 신설된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을 중심으로 개인정보 침해 사례에 대한 수사와 단속은 물론 예방 및 안전진단 등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사이버 안전 종합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이성한 청장은 조류 인플루엔자(AI)의 확산을 막기 위해 경찰 기동대등 가용한 경찰력을 방역 현장에 최대한 동원하고 매뉴얼에 따라 비상근무 체제를 재정비하라고 당부했다.
경찰은 닭이나 오리 등 가축을 밀도살하거나 밀반출하는 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국민의 불안감을 유발하는 사이버 공간의 유언비어 등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대처할 방침이다.
경찰은 전북청 등 6개 지방청과 이동통제소 118개소에 경찰관 638명을 배치해 방역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회의는 화상회의 시스템을 통해 일선 경찰서장과 지구대, 파출소장까지 모두 시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