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미달 논란 혁신학교 4곳 재지정

일부 "도교육청, 학부모 반발 의식" 의혹 / "중장기 대책·성공모델 제시해야" 지적

속보= 전북교육청이 기준 미달 논란이 일었던 혁신학교 4곳을 결국 재지정했다. 이 과정에서 전북교육청은 학부모들의 반발을 의식해 재지정 수순을 밟았다는 지적과 함께 혁신학교 연착륙을 위한 중장기 보완책을 제시하지 못하면서 ‘혁신학교 착근이 요원하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듣게 됐다. (1월 3일자 7면 보도)

 

전북교육청과 혁신학교운영위(이하 운영위)는 당초 일부 항목에서 미흡 평가를 받고 현장조사를 실시한 4곳(초교 1곳·중학교 3곳)에 대해 재지정 결정을 내렸다고 2일 밝혔다.

 

앞서 운영위는 교육종합연구소(소장 유평수)의 ‘전북 제1기 혁신학교 종합평가’를 토대로 20곳 중 16곳은 재지정, 4곳(초교 1곳·중학교 3곳)은 현장조사를 전제로 유보했었다.

 

운영위는 현장조사 결과 학부모들로부터 “재지정이 안 되면 이사가겠다”며 반발이 이어진 반면 일부 교사들은 과도한 업무 부담으로 재지정을 반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해당 학교 일부 교사들은 ‘교사들의 업무량은 많고 만족도는 낮아 이탈율이 높은 데다, 교장의 리더십에 의해 성패가 좌우되면서 학부모·지역사회와 소통이 원활하지 않는 등 민주적 운영에 한계를 보였다’고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실제로 혁신학교 초창기 모델로 꼽혔던 A학교는 혁신학교 경험교사 외에 신규교사들이 합류하면서 학교 철학·비전을 공유하고 학생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B·C·D학교도 교장의 업무공백 및 리더십 부재와 함께 핵심교사들의 인사 이동으로 인한 정책 차질이 두드러졌다.

 

한 혁신학교 교장은 “지난해 교사들의 만족도를 조사했더니 활력·행복감이 낮았다”면서 “결국 수업에서 만족감을 찾아야 하는 데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교장도 “학군이 안 좋은 혁신학교는 고민이 더 많다”면서 “교장에게 인사권을 줘도 교사들이 지원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며 인센티브제 도입을 강조했다.

 

사정이 이런데도 전북교육청은 혁신학교 측이 △TFT 구축 △희망교사 배치 △교장 인사 등 대안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전북교육청이 혁신학교 홍보에만 치중한 채 중장기 대책 및 성공모델을 제시하고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전북교육청이 혁신학교의 성패 원인을 비교·분석해 중장기적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가 병행돼야 한다”면서 “교사뿐만 아니라 교장까지 희망자로 받아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혁신학교 지원교사의 인센티브제 도입은 협동성·자발성 등에 근간을 둔 혁신학교의 취지를 퇴색시키고 승진 가산점을 받기 위한 도구로 전락하게 된다”면서 “그러나 중장기 계획안을 조만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북교육청은 학급당 학생수를 줄이고, 교사에게 교육과정·학생평가에 관한 자율권을 확대하자는 취지로 전북형 혁신학교를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101곳을 지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