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노인들 살기 힘들다

산업연구원 발표 고령화 대응력 종합지수'전국 14위' / 지역간 양극화 심화…노동생산성 향상 등 대책 시급

전국에서 두 번째로 고령화율이 높은 전북 지역이 인구고령화 문제에 대한 지역 대응력 평가에서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더욱이 세계 최고수준의 저출산·초고령화로 인해 성장잠재력 하락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따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4일 산업연구원(KIET)의 ‘지역경제 고령화 대응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전북의 고령화 대응력 종합지수는 2.65로 조사대상 16개 자치단체 가운데 14위에 그쳤다. 전북보다 대응력이 떨어지는 곳은 부산(1.92)·대구(2.42)이고, 경기(4.38)·충남(4.20)·충북(3.78) 등의 지역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고령화 대응력 지수는 경제·산업·보건·복지 등 4개 영역에 걸쳐 고령화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29개 세부지표 기준을 선정,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산출됐다. 이를 바탕으로 각 지역의 영역별 대응 수준과 잠재력 등을 포함해 종합지수를 계산했다.

 

전북은 경제·산업 분야를 포함하는 ‘경제활력’ 부문과 보건·복지 분야를 포함하는 ‘생활활력’ 부문에서 각각 13위·15위에 그쳐, 경제 침체현상이 도민들의 생활의 질 하락으로 이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경기는 경제·생활활력 부문에서 각각 2위를 기록해 대조를 이뤘다.

 

지역 간 고령화 대응력 양극화 현상도 두드러졌다. 대응력 지수가 가장 높은 경기와 가장 낮은 부산 사이에는 2.3배의 격차가 존재했고, 전북도 1.65배 차이가 났다.

 

이 같은 결과는 활력지역과 쇠퇴지역 간의 노동생산성 차이를 유발하고 이는 다시 경제격차를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분석이다. 이에 더해 쇠퇴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보건·복지환경이 좋은 활력지역으로 이동하게 돼 활력지역과 쇠퇴지역 간 고착화현상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허문구 KIET 연구위원은 “지역이 고령화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상쇄하려면 기업의 설비투자를 유도하고 혁신활동 강화와 외국인을 포함한 창의인재 육성을 통해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노인층이 사회적 사각지대에서 벗어나고 지역주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한 복지정책을 확충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