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6일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법을 논의하기 위한 우리 정부의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 개최 제의를 거부했다.
북한은 이날 오전 판문점 연락관 채널을 통해 보내온 조선적십자중앙위원회 위원장 명의의 통지문에서 “지금은 이산가족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가질 환경과 분위기가 조성돼 있지 못하다”고 밝혔다고 통일부가 전했다.
북한이 이날 남북 적십자 접촉을 거부함에 따라 이산가족 상봉 이후 대화가 단절된 남북관계는 당분간 냉각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은 또 “현 남북관계로 봐서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같은 중대한 인도적 문제들은 남북 적십자간 협의로 해결될 성격의 문제가 아니다”고 덧붙였다.
북한이 이런 입장을 밝힌 것은 키 리졸브 및 독수리 연습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남측과는 대화를 당분간 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으로 이산가족 문제를 논의하더라도 적십자 실무접촉이 아니라 자신들이 원하는 금강산 관광 재개, 5·24제재 해제 문제 등을 포괄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남북 고위급 접촉’을 통해 다루겠다는 메시지를 강하게 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한미 연합 키 리졸브 연습은 이날 종료되지만 독수리 연습은 내달 18일까지 계속되기 때문에 북한의 대화제의 불응방침은 내달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는 “우리 측이 수차례 밝혀왔듯 이산가족 문제는 그 어떤 사안과 연계됨이 없이 남북 간에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며, 남북관계 발전의 주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북측이 우리측 제의에 호응해 오기를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