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전북도와 전주시간의 의견차이로 갈등을 빚었던 전주시 팔복동 친환경 첨단복합 산업단지(3단계)가 국가주도형 지역특화산단으로 조성될 전망이다.
전주시에 따르면 현재 국토교통부가 친환경 첨단복합 산업단지(3단계)를 국가주도형 지역특화산단 지정을 위한 실사를 진행중이며, 이번주 최종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국토부는 지난달 12일 전주의 탄소를 비롯해 원주의 의료, 진주·사천의 항공, 밀양의 나노, 거제의 해양플랜트 등 5개 지역을 지역특화산단 조성 후보지로 발표했다. 앞서 국토연구원은 지난해 5월부터 지역특화산단 입지 선정을 위한 연구 용역을 진행, 전국 60여개 산업단지 중 5개 후보지가 특화산업단지 입지 여건이 타당하다는 최종 용역결과를 국토교통부에 제출했다.
이에 전주시는 지난달 24일 특화산업단지 입지 지정 신청을 위한 제안서를 국토교통부에 제출했다.
특히 친환경 첨단복합산단 예정지가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될 경우, 그간 전주시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해 왔던 탄소산업을 중앙정부가 특화산업으로 인정한다는 것을 의미하게 돼 전주 탄소산업은 국가산업으로서의 위치를 확보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전주시는 친환경 첨단복합산단 예정지를 일반산업단지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 2011년부터 추진했으나, 전북도의 반대로 무산됐다. 시는 오는 2017년까지 3275억원을 투입해 민관합동 개발방식으로 산업단지를 개발할 계획을 세우고, 예산투입에 따른 사전 절차로 안전행정부에 투융자 심사를 신청했으나 전북도의 반대의견 제시로 번번히 좌절됐다.
특히 지난해 10월에는 SK건설 컨소시엄을 사업을 추진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투융자 심사를 신청했으나, 안전행정부는 전북도의 의견을 상당부분 수용해 “특수목적법인(SPC)방식으로 추진할 필요성이 있는지를 재검토하고, 구체적인 민간자본 유치방안 마련과 민간자본에 대한 자치단체의 보증 및 책임분양 등 재정부담이 없도록 계약조건에 명시해 재상정하라”며 재검토 결정을 내렸다.
이로 인해 전주 입주를 희망하고 있는 탄소기업들에게 제때 부지를 공급하지 못할 상황이 벌어지게 되는 등 비상이 걸렸다.
전주시 관계자는 “당초에는 일반산업단지로 추진했다. 그런데 정부가 직접 나서 국가산단으로의 지정을 추진하고 있어, 최종 지정이 결정되면 친환경 첨단복합 산업단지의 위상은 한단계 격상되게 된다”면서 “향후 탄소관련 기업유치 가속화 등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