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용태 고려대 명예교수(스페인 왕립 한림원 위원)는 최인호 시인의 시가 그런 범상스럽지 않은 벼랑 위의 꿈, 절벽 위에 핀 꽃이다고 했다. 최 시인이 낸 시집 <서정의 분노> 에 대한 작품해설을 통해서다 <문학시티> . 문학시티> 서정의>
군산 출신으로, 계간 <문학미디어> 로 등단한 최 시인의 시에는 정지용 못지 않는 고향에 대한 향수로 가득차 있다고 민 교수는 보았다. 문학미디어>
‘심청가 감미로운 진양조에 / 외조부님 눈시울 뜨겁다 /(중략)/둔덕길 돌아오는 길 뜨락에 서면 / 초가지붕 처마 기슭 따라 조여진 듯 / 색감으로 꼬옥 다음어진 이엉 아래 / 섬돌 위 흰 고무신’.
고향 냄새 물씬 풍기는 정스러운 이미지를 ‘섬돌 위 흰 고무신’으로 그렸고, 고향을 연상시키는‘어머니’를 곳곳에 등장시켰다. 시인은 또 시장에 나온 춥고 배고픈 사람들, 등굽은 할매의 모습에 남다른 연민을 가졌고, 나무를 보며 생명의 눈길을 노래했다.
‘꽃비 날리는 날이면’‘서투르니 고아라’‘수긋함이 좋다’‘평안의 빛’‘분노’5부에 걸쳐 100편의 시를 수록했다.
문학미디어 작가회장을 지냈으며, <눈부신 바다> <꽃향기가 말했다> <달항아리> 등의 공저가 있다. 달항아리> 꽃향기가> 눈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