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7일 최근 청와대 일부 행정관들이 비위를 저지르고도 징계를 받지 않고 원소속 부처로 돌아가 근무해 논란이 인데 대해 "대통령 비서실에 근무했던 일부 행정관들의 잘못된 행동과 사후조치 과정에서 대통령 비서실부터 솔선수범하지 못한 것은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면서 "지금 우리는 과거부터 이어져온 고질적인 병폐와 부조리를 끊고 기본이 바로선 나라를 만들기 위해 전 분야에 걸쳐 비정상의 정상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사회기강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회지도층과 고위공직자들이 솔선수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앞으로 (청와대 내부) 공직기강을 바로잡고 내부 자체개혁을 해달라"면서 "이런 사례를 계기로 고위공직자를 포함한 사회 지도층부터 더욱 솔선 수범해서 비정상적인 것들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이 청와대 비서실을 직접 거론하며 "매우 유감"이라고 언급함에 따라 김기춘 비서실장을 비롯해 비서실 인사들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질지 주목된다.
행정관 비위 및 무징계 논란은 지난해 11월 처음 불거졌다.
당시 청와대는 경제수석실에서 근무하던 A행정관이 골프 접대와 상품권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 10월께 원래 소속 부처로 되돌려보냈지만 별도의 징계조치는 취하지 않았다.
당시 청와대는 "청와대에 근무하다가 원대 복귀하는 것 자체가 하나의 징벌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A행정관을 포함, 이후 행정관 및 직원 10명이 삼성이나 GS, CJ 등 국내 유수기업 관계자들로부터 수십만원에서 수백만원어치의 향응, 금품, 골프 접대, 명절 선물을 받거나 부처의 법인카드를 사적으로 사용했다는 등의 사유로 적발돼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차례로 원대복귀 조치됐지만 아무런 징계를 받지 않아 사건축소 논란과 함께 국민 눈높이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이러자 김기춘 비서실장은 뒤늦게 지난 3일 원대복귀한 행정관들에 대해 해당부처가 절차와 사안에 따라 징계 조치를 취하도록 관련사실을 해당 기관에 통보한 바 있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이 강력한 내부 자체개혁을 주문한 만큼, 비서실이 유사사례 재발을 위한 강력한 대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