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는 한여름 밤의 꿈이 되었다

기득권 헌정치 음모 민망한 도로 민주당 줄서기 구태 불보듯

▲ 김영기 전북일보 객원 논설위원·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대표
또 다시 도로 민주당으로 부활했다. 한 치의 오차도 없었다. 새누리와는 텃밭과 기득권이 전라도와 경상도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낮에는 싸우는 척하다가 밤에는 형님, 동생하며 서로 공생한다. 홀로서기를 두려워하고 불안해하며 제왕적 의원들의 기득권 유지에는 뜻을 같이하는 종자라는 것을 잠시 잊고 있었을 뿐이다.

 

애애초 안철수가 주장했지만 표를 의식하여 자신들도 동조했던 대국민약속이었다. 어느 누구도 기초선거 공천폐지가 정치 개혁의 중요한 내용이라도 말한 적도 없다.

 

다만 의원들의 줄서기 강요와 돈 공천에 지긋지긋하여 한번 쯤 무공천 했으면 좋겠다는 일부 의견들이 있었을 뿐이다. 무공천 사태가 정당정치의 실종이니 후보의 난립이니 하며 호들갑을 떨 이유도 없었다.

 

국민과의 약속을 결국 양당은 저버렸다. 타 당의 핑계를 댈 필요는 없다. 그것은 결코 한시도 기득권을 놓을 수 없는 제왕적 국회의원들과 변화를 바라지 않는 기득권 세력들이 헌정치의 양당 구조를 부활하려는 음모에 다름 아닌 것이다.

 

지방자치의 확장과 정치개혁의 핵심인 로컬 파티 인정과 권역별 비례대표제의 문제는 거론조차 되지 않고 사장되었다. 어차피 정치개혁의 핵심과제는 논의조차 되지 못한 것이다.

 

이제 새정치민주연합 즉 도로 민주당과 제왕적 국회의원들의 수확거두기만 남았다. 잠시 동안 얼마나 외로웠을까? 기초공천이 없어지자 국회의원이 왕림해도 가방 들어주고 도열하며 줄서는 사람이 많지 않아 속으로 불편했을 것이다.

 

친히 문자까지 보내 공천부활에 목숨을 건 의원만 나무랄 일이 아니다. 이춘석 의원을 빼고 구별이 어려운 차이였을 것이다. 한국정치에서는 “아! 옛날이여!” 가 지나간 세월의 회한이 아니다. 언제든지 부활의 노래를 부르며 현실 권력으로 더욱 빛나면서 살아 돌아 올 수 있다.

 

안철수 신당과 민주당의 전격 합당으로 민주당을 탈당하여 자유로움을 잠시 느꼈던 사람들이 얼마나 당황스럽고 황당했을까? 아니 자유로움을 느낄 새도 없이 도로 민주당으로 귀환했으니 참 민망했을 것이다.

 

이러니 정치하려면 능력은 없어도 눈치는 9단으로 줄을 잘 서야 한다는 속설이 생겼다. 제왕적 중앙 권력과 국회의원들의 횡포로 인해 생긴 일이다.

 

안철수와 김한길 대표가 순간 합당을 선언해도 백 명이 넘는 국회의원들 중에서 문제 있다고 주장한 의원이 몇 명이었나 생각해보면 아찔하다.

 

채 한 달이 지나지 않아 국회의원들이 흔들기를 통해 자신들의 기득권을 사수했으니 기회주의자들과 양다리들이 살아남는 것을 또 한 번 확인시켰다.

 

‘모난 것이 먼저 정 맞는다.’는 속설이 살아 움직이는 곳이 정치권인 것이다. 속마음을 감추고 복종하며 때를 기다려야 웃는 오늘이 있다는 것이다.

 

이제 기초출마자 중 상당수가 출마를 포기할 것이다. 공천이라는 이름의 ‘사천 과정’을 통해 국회의원들의 입맛에 맞는 사람들만 남아 활개 칠 지방선거의 풍경이 재현될 것이다. “아! 옛날이여!”가 아니라 부활하는 제왕적 의원과 아전들의 재현 및 줄서기가 시작되었다. 어사출도는 가짜 암행어사로 규정되었다. 아전만이 살 수 있는 세상이 다시 된 것이다.

 

전북지역 선거는 예선전으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안철수 신당으로 경쟁 체제가 들어설 것처럼 했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 역시 정치는 살아 움직이는 생물이던가?

 

삼일천하는 종료되고 전북지역에서 지방선거는 낙천운동 외에 다른 무엇도 필요 없게 되었다. 과거 민주당 보다 훨씬 강력한 새정치 연합의 깃발로 경쟁 구도 없이 공천 곧 당선을 결정하게 된 것이다.

 

역시 정치개혁과 해방은 핍박받는 자들의 몫이지 지배자들의 은전과 떡고물로 이룰 수 없다는 진리를 확인하는 기초선거 무공천 해프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