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항공대 이전 문제로 기로에 선 전주 에코시티 조성사업에 대한 바람직한 개발 방향을 재설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주시가 기존 사업안을 추진할 경우 북부권 난개발과 구도심 공동화 현상 심화는 불 보듯 뻔한 상황이기 때문.
현재 사업 추진 당사자인 송하진 전 전주시장은 6·4 지방선거 도지사 출마로 지난 2월 사퇴, 강완묵 전 임실군수 역시 지난해 8월 정치자금법위반으로 중도하차 한 상태다.
이런 가운데 전주시는 오는 20일 내 임실군과 협의를 이뤄내거나 국방부의 개정된 훈령을 다시 원점으로 되돌리지 못하면 사실상 사업 자체가 불가능해질 전망이다. 국방부의 기일 연장은 사업의 장기화를 의미하는 것이어서 사실상 의미가 없다. 더욱이 6·4 지방선거를 통해 당선된 차기 시장의 의지에 따라 사업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예비후보들을 중심으로 해법을 논의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전문가들은 사업 지연으로 인해 부담금이 많아지는 시점에서 개발 방향뿐 아니라 적절성 여부를 놓고 다양한 방안 모색으로 제2의 서울 용산역 개발중단 사태를 막아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특히 에코시티 조성사업에 대한 전주시장 예비 후보자들의 의견이 ‘추진과 재검토’로 엇갈리는 가운데 새로운 방안을 내놓는 예비 후보자들도 있다.
김병수 전주시장 예비후보는“‘전주시민 1평 텃밭 가꾸기’로 공익·협동의 시민농원 조성과 도시농업의 로컬푸드 활성화 등 북부권을 전주의 센트럴파크 바람숲으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임정엽 전주시장 예비후보는 “이미 진행된 사안을 원점으로 되돌리기는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며 “수지타산이 맞지 않은 상황에서 시간만 흘러가게 놔두면 지역 건설사가 부도가 나던지 시민이 과도한 비용을 부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적극적인 시민의 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사업 진행이 어렵다면 국민 펀드를 모집해서라도 문화예술 공간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승수 전주시장 예비후보는 “에코시티의 개발은 충분한 시민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못했고, 건축면적이 너무 커(비율대비) 자칫 건물만 가득한 회색 도시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라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지역주민, 전주시민, 행정 등이 함께하는 가칭 ‘에코시티정상화추진위원회’를 결성, 사업의 추진방향을 재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기존 사업계획 보완과 재검토는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압도적이다.
전북발전연구원 관계자는 “이미 사업 지연으로 사업성을 잃어 경제적 부담이 시민에게 전가되는 상황에서 방향을 재설정하는 연구 용역이 필요하다”며 “계획보다 초과해 발생한 부담금을 최소화화는 방안을 찾아내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