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삼산마을 '온수 공급' 시끌

시, 53가구중 12가구 사업 제외 / 원주민-이주민 갈등 조장 지적

전주시가 전주권 소각자원센터 주변 영향지역인 삼천동 삼산마을에 소각폐열을 이용한 온수공급 사업을 추진하면서 일부 마을주민을 배제한 채 공사를 진행해 말썽이 일고 있다.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5월 5억원의 예산을 투입, 삼산마을 41가구에 소각폐열을 활용하는 온수공급 관로매설 공사를 착공했다. 주민부담 2억원이 추가된 이 공사는 지난해 10월말 마무리됐다.

 

그러나 이 마을에 주민이 실거주하는 총 세대 수는 53가구로, 12가구는 이 사업에서 제외됐다. 이에 사업에서 제외된 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마을주민 A씨는 “전주시가 온수배관공사 실시 설계때 실거주 가구 수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12가구를 사업대상에 제외시켰다”고 주장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당시 실거주 가구 조사는 삼산마을 발전회와 공동으로 실시됐으며, 사업이 진행될 당시에는 예산이 부족해 전 가구를 대상으로 삼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그렇지만 사업대상에 제외된 주민들은 여전히‘전주시의 의도된 배제’를 주장했다.

 

현재 삼산마을 내에는 원주민들로 구성된 ‘삼산마을발전회(41가구)’와 2006년 이후부터 이주해 온 주민들이 만든‘삼산마을회(12가구)’로 나뉘어져 있는데, 이 사업에서 배제된 12가구 모두는 삼산마을회 소속이라는 것이다.

 

주민 A씨는 “전주시의 말대로 예산이 부족했다는 말을 믿더라도, 사업에서 제외된 가구가 모두 삼산마을회 소속이라는 사실을 단순히 우연의 일치라고 믿어야 하는가”라고 반문하면서 “가뜩이나 원주민과 이주민간에 갈등이 상존해 있는데, 갈등을 조정해야 할 전주시가 오히려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주민들의 요구가 거세자 전주시는 올 8월 안에 나머지 가구에 대해서도 공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주시 관계자는 28일 “올해 3800만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조만간 2차 공사를 발주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2차 사업대상은 8가구로, 나머지 4가구는 ‘사업계획(2013년 2월 기준)이 추진된 이후에 이주했다’는 이유로 사업대상에 제외됐다. 전주시는 “마을 주민들과 협의가 된 사안”이라고 밝히고 있으나, 마을주민간 또 다른 갈등의 씨앗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