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어버이날을 맞아 국가로부터 국무총리 표창을 받은 익산시 함라면 소재 (사)원광효도마을 노인복지센터. 이곳을 11년째 이끌어 온 조정현(56) 원장은 노인재가복지에 대한 단상을 이와 같이 밝혔다. 노년에 대한 보장이 제도적으로 갖춰지면, 사람들이 안정을 느껴 사회 갈등 완화에도 효과가 있을 것이란 예상이다.
원광효도마을은 지난 1996년 정식 사회복지법인으로 인가를 받았지만, 그보다 약 3년 앞서 노인들을 돌봐 와 올해로 근 20년 간 전북지역 노인복지에 힘쓰고 있다. 이곳을 거쳐 간 자원봉사자만 7000여명에 달하고, 도시락 27만개 지원 사업을 실시했으며, 음성 꽃동네를 제외하고는 전국에서 면적이 제일 커 대규모 자원봉사단 유치 등 굵직한 행사·사업 실행이 가능하다. 현재 이곳을 통해 돌봄을 받는 노인은 350여명 정도다. 2008년에는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기도 했다.
국무총리 표창을 받은 특별한 이유가 있냐는 질문에 조 원장은 “20년 동안 꾸준히 규모 있게 노인 복지를 실천했고, 비교적 돈과 경영논리로부터 자유로운 재가복지센터였기 때문에 국가에서 인정한 것 같다”며 “도시락을 들고 어른들의 손을 따뜻하게 잡으며 함께 식사하는 것이 진짜 실천”이라고 강조했다. 진심을 담은 한 끼 식사가 정서적으로 큰 효과가 있다는 얘기다.
조 원장은 노인 재가복지에 있어서 공무원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복지의 일선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와 요양보호사의 처우 개선이 매우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요양보호사의 초봉은 1500만원에 불과한 실정이다.
“악조건 속에서도 노인 분들의 아픔을 공감하며 사명감으로 일하는 분들을 보면 죄송스럽고 또 존경스럽습니다. 공직자들의 복지에 대한 인식개선이 시급해요. 원불교에서는 ‘타인의 부모도 내 부모처럼 모셔라’고 가르칩니다. 저희는 내 부모 이상으로 모셔야 잘 모시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여건이 하루 빨리 갖춰지길 기대해 봅니다.”
고창이 고향인 조 원장은 원불교 교무이기도 하다. 그는 미국에 원불교를 알리고 싶었지만, 발령을 익산으로 받게 됐다. 원광대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재가노인복지협회장 등 공적인 직분 제의가 있었지만 본업에 충실하기 위해 고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