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학교에서의 안전교육에 대한 요구가 커진 가운데 교원의 절반 이상은 학생들이 위험 상황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할 것으로 생각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지난 8∼13일 전국 유·초·중·고교 교원 및 전문직 3천243명을 대상으로 한 '학생안전 및 스승의 날 교원인식 설문조사'에서 학생의 위험 대처능력에 대한 질문에 교원 58.8%가 '제대로 대처하지 못할 것'이라고 답했다고 14일 밝혔다.
교원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안전교육도 여전히 부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1∼2년 이내 학생안전교육이나 재난대비 연수·교육을 받지 않은 교원은 40%에 이르렀고 교육을 받은 경우에도 66.4%는 체험 없이 안내서와 강의자료 중심의 이론교육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충분하다'는 응답이 12.9%에 불과한 반면 '부족하다'는 의견은 58.5%에 달해 교육 내용을 정비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안전사고 및 재난에 대한 학생의 대처 능력을 길러주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교원 72.6%가 '반복훈련형 체험안전교육을 주기적·의무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라고 답했고 '정부 차원의 체계적 안전 매뉴얼 제작·보급'(12.4%), '학생안전교육과 관련한 수업시수 확보'(9.8%) 등이 뒤를 이었다.
'학교 밖 활동 중 학생안전사고 위험을 경험했거나 위험성이 가장 높은 분야'로 는 교원의 66%가 수학여행을, 20.3%가 수련회를 꼽아 단체로 장거리 이동이 필요한 경우 위험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월호 참사로 교원과 학생이 받은 충격도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원의 47.4%는 본인이나 주변 교원이 불안증, 우울증 등의 신체적 증세를 보인 적이 있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의 17%는 세월호 참사 이후 재직 학교나 학급에 트라우마 증세를 보인학생이 있다고 답했는데 유·초등학교에 비해 고교(25%)와 중학교(19%)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교총을 비롯한 270여 교육·시민사회단체는 이날 프레스센터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시민사회가 학생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힘을 모으자는 취지의 '학생안전망 협약'을 체결했다.
또 세월호에서 제자를 위해 살신성인한 단원고 교사와 교감을 의사자로 추서할 것을 호소하고 6.4 교육감선거 출마자들에게 교육의 본질에 충실한 공약을 제시하는 정책선거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