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수습을 위해 대국민담화를 발표한데 이어 그 후속조치로 인사쇄신을 추진할 예정인 가운데 21일 아랍에미리트에서 귀국한 직후 곧바로 후임 총리 인선과 개각은 물론, 청와대 참모진에 대한 개편 방향이 속속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전북 출신 한광옥 대통합위원장, 진념 전 경제부총리가 총리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국회에서 20일 열린 세월호 참사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서 여야는 한목소리로 강력한 인적 쇄신을 주문했다.
새누리당 신성범 의원은 “국가 개조와 혁신의 출발은 대대적 인적쇄신이어야 하고, 그 내용은 현 내각의 총사퇴와 청와대 참모진의 전면 개편이어야 한다”며 “새 내각은 네 편, 내 편 따지지 말고, 학연·지연·혈연에 얽매이지 않고 야당 성향의 인재까지도 고르게 등용하는 대탕평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의원도 “총체적 국가기강 해이, 총체적 재난관리 부실에 대한 책임을 지고 내각뿐 아니라 청와대 비서실장·안보실장·국정원장을 비롯한 직할 보좌진의 총사퇴 등 인적 쇄신이 반드시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청와대 안팎에서는 이르면 이번주 내에 후임 총리 인선 결과가 발표될 것이란 관측도 나돌고 있다.
후임 총리는 세월호 참사가 가져온 국가적 위기상황에서 책임총리제를 구현하며 내각을 진두지휘할 수 있는 정치력과 실무능력이 있는 인사가 낙점될 것이란 관측이 많다.
현재 본인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이장무 전 서울대 총장,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진념 전 부총리, 안대희 전 대법관, 김성호 전 국정원장, 김무성·최경환 의원의 이름이 흘러 나오고 있다.
총리 인선을 마무리 지은 뒤 박 대통령은 곧바로 개각 작업에 착수, 상당폭의 개각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