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같은 의견은 전북일보가 창간 64주년을 맞아 지난달 23일 한국소리문화전당에서 가진 전북문화예술인 초청 간담회에서 제기됐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정부의 문화예술정책·문화예술 인력양성·문화의 산업화·생활 속 문화 향유 확대·광역단위 문화재단 설립 문제 등이 집중 논의됐다.
선기현 전북예총 회장은 “세종시(문체부)와 부산(영진위, 영등위)·전남(예술위, 콘진원)·광주(아시아문화전당) 등의 경우 정부 차원에서 문화관광도시로 발전시킬 계획을 갖고 있는 데 비해, 전통문화도시를 지향하는 전북에 그런 비전이 부족하다”며, “국립현대미술관 분관 등을 유치하고, 새만금을 문화특구로 지정하는 등의 굵직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선 회장은 또 문화예술인들이 지역에 거주할 수 있도록 폐교 등을 작업실로 활용하고, 문화예술인들이 전주·익산·군산에 집중돼 있는 만큼 농촌 지역에‘강좌 배달제’ 실시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유장영 도립국악원 관현악단장은 수도권 중심의 문화차별과 문화예술 격차의 해소를 위해서는 문화탕평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 단장은 “역사적으로 조선 영·정조시대에 중인이 부를 축척하고 문화를 지원해 판소리가 생길 수 있었던 점을 고려할 때 메세나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많아질 때 문화융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또 전북의 강점인 전통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주민 참여형 작품을 만드는 데 고민이 필요하며, 대중가수에 의존하는 한류는 한계가 있는 만큼 전통문화와 결부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미정 전북도 문화예술과장은 “문화융성은 문화를 융성하는 것과 문화를 통한 융성을 생각할 수 있는 데, 우리는 후자가 부족하다”며, “문화의 산업화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산업에서 처럼 문화에서도 문화인력의 수요공급이 잘 맞지 않고 있는 만큼 문화산업커플링 등으로 미스매치를 해소하는 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진아 익산문화재단 팀장은 “문화정책은 아무리 좋아도 실행하는 예술인과 향유하는 사람이 느끼지 못하면 소용없다”며, “실적 위주가 아닌 삶에서 문화가 녹아나고 향유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나 자치단체의 문화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간단회에서는 또 광역단위의 문화재단이 설립되지 않아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부분이 많은 만큼 기존 문화재단 운영에 따른 문제점들을 보완해 문화예술행정에서 민간의 의견이 제도적으로 수렴될 수 있는 시스템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참석자들이 한목소리를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