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전북교육청이 청와대 게시판에 ‘박근혜 정권 퇴진’을 요구한 교사 43명 가운데 전북 출신 교사들의 신원은 확인했지만, 교육부에 관련 명단을 제출하는 것은 잠정 거부키로 했다. (5월 29일자 7면 보도)
전북교육청에 따르면 시국 선언에 참여한 43명 중 전북 출신 교사수는 5명 안팎인 것으로 파악됐다. 전북교육청은 교육부에 관련 교사 명단 제출 여부와 2차 시국 선언을 한 교사들의 신원 확인 여부까지도 교육감 선거가 끝난 뒤 확정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시국 선언을 한 교사들의 신원 조회를 거부했던 전북교육청은 교육부의 강력한 요청에 떠밀려 지난달 말 신원 조회 절차에 나섰고, 전북 전교조 등 교육시민단체로부터 강한 반발을 샀었다.
이에 따라 전북교육청은 해당 교사 명단 제출 여부에 대한 판단을 교육감 선거 이후로 미루면서 재선을 겨냥하는 김승환 후보의 정치적 부담을 덜어주는 대신 교육부에 대해서는 ‘신원 확보를 했다’는 명분을 쌓는 등의 복안을 내놓았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한편 교사들은 지난달 13일에 이어 지난달 28일에도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에 나섰으며, 교육부는 지난달 22일 교사 징계를 논의하기 위해 개최한 시·도교육청 부교육감회의에서 ‘교사 신원 조회’를 강하게 요청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교사들은 두번 째 시국선언에서 “세월호 참사에는 늑장 대응으로 국민들의 분노를 자아내더니, 선언에 참가한 교사들의 신원 파악과 징계 처분 등의 조처를 취하라는 요구를 시·도 교육청에 하달, 비판의 목소리를 잠재우려고만 하고 있다”고 정부에 쓴소리를 낸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