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후임 총리 인선기준 제시

朴대통령 '국가 개혁·국민 요구' 맞춰 삼고초려 / 정치권 한광옥·김종인 등 거론

박근혜 대통령이 2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후임 총리의 인선 기준을 분명히 제시하고 나서 과연 누가 총리로 낙점받을 지 최종 결과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총리 임명 후 개각을 통해 국정운영을 일신하고 새롭게 출발하려던 일정이 다소 늦춰지게 됐지만 국가개혁의 적임자로 국민께서 요구하고 있는 분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대통령은 이날 총리 인선이 다소 늦춰지더라도 세월호 참사로 드러난 적폐를 뜯어고칠 수 있으면서도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도덕성을 갖춘 인사를 삼고초려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박 대통령이 이날 공식 석상에서 총리 지명 지연과 관련, 양해를 구하면서 후임 총리의 최우선 인선기준은 이미 공표한대로 ‘국가개혁’에 있음을 거듭 확인한 것도 사실 국민들에게 조금 더 인내심을 가지고 지켜봐 줄 것을 당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과연 후임 총리로는 누가 첫손에 꼽힐까.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이 최근 총리직을 맡지 않겠다고 공언한 가운데 정치권 주변에서는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김종인 전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장 등이 연일 거론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이나 조무제 전 대법관을 눈여겨 보기도 하며, 학계 원로급 인사나 시민사회단체 활동을 오래 하면서 능력과 청렴성, 개혁성을 널리 인정받은 사회적 명망가가 전격 발탁될 가능성을 점치는 사람도 많다.

 

박 대통령이 이날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국민께서 요구하고 있는 분을 찾고 있다”고 언급한 것은 친서민 행보를 해온 개혁성향의 인물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관측이 나돌고 있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후임 총리가 인선되고 인사청문회를 거쳐 임명되기 전까지 국정운영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주고 시급한 국정개혁 과제들도 충실히 수행해주기 바란다”며 “지난 대국민담화에서 밝혔듯이 지금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개조의 핵심 중 하나는 공직사회의 개혁이고, 공직사회의 개혁을 위해서는 공직자들의 개혁동참 의지와 솔선수범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