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남 장성 요양병원과 경기 고양터미널에서 잇따라 불이 나 수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세월호 침몰 사고로 슬픔에 잠긴 국민들은 연이어 들려오는 각종 대형 재난 소식에 안타까워했다. 또한 조금만 주의를 기울였어도 막을 수 있었던 사고라는 수사기관 발표와 언론 보도가 이어지면서 국민들은 다시 한번 분노했다.
이에 대형 재난사고 예방을 위한 총체적 위기관리대응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특히 공연장, 종합병원, 터미널 등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잠재된 위험요인과 취약점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보는 두 차례에 걸쳐 전북지역 다중이용시설 등의 재난 대응 실태와 안전 전북을 위해 필요한 지방정부 및 지역사회의 역할에 대해 짚어본다.
지난 2월 25일 새벽 4시께 전주시 서신동의 한 아파트 14층에서 불이 났다.
다행히 큰 불로 번지지는 않았지만 아파트 인근 주민들은 불이 난 지도 몰랐다.
조사결과 화재를 감지하고 관리소 및 이웃세대에 이를 알리는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작동하지 않았다.
자칫 불이 크게 번졌다면, 대형 인명피해를 불러올 수도 있었다는 것이 출동한 소방대원들의 설명이다.
이런 잠재적인 위험요소는 도내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5일 전북 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4월 30일부터 10일 간 도내 5000㎡ 이상 규모의 공연장, 터미널, 종합병원, 숙박시설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안전점검 결과 전체 187곳 중 21곳(11.2%)에서 안전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전주의 한 종합병원의 경우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유도등, 소화기 등 소방시설물에서 하자가 발견됐다.
119가 출동하기 전 필요한 초기 화재 대응에 허점이 드러난 것.
최근 도내 근린·공동생활시설 1108곳에 대한 안전점검에서도 103곳(9.3%)에서 안전관리가 허술한 것으로 조사됐다.
점검결과 소방시설물의 작동 불량과 함께 소방안전관리자의 근무 태만이 적발됐다.
재난안전관리 대상시설에서도 이 같은 안전관리 미흡 사례는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도에 따르면 최근 도내 재난안전관리 대상시설 1037개소에 대한 현장 안전점검을 실시한 결과, 23.3%인 242개소에서 안전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안전점검은 안전시설 미비 및 안전조치 미흡, 안전수칙 미준수와 매뉴얼 및 비상연락망 정비 미흡, 자체 안전교육 등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그 가운데 안전시설 및 안전조치 미흡 124곳(11.9%), 안전교육 및 훈련 미흡 27곳(2.6%), 재난대처 매뉴얼 정비 미흡 24곳(2.3%) 등이 각각 적발됐다.
대표적으로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과 상하수도와 도로 등의 공사현장, 여객자동차터미널 및 버스업체 등의 안전시설이 미비했다.
특히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5개소 중 안전시설 미비로 1개소, 재난대처 매뉴얼 및 지침 미비로 1개소가 적발됐고, 이 중 1개소는 행정처분이 내려졌다.
전북 소방본부 관계자는 “대형 사고의 공통점은 우리사회에 만연해 있는 안전불감증에서 비롯된다”면서 “다중이용시설 관리자나 책임자들의 안전의식 향상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