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카페 상업화·권력화 이대로 좋은가 (하) 대안은

홍보글 구분 가능한 별도 신고 코너 필요 / 건전한 운영 위한 자정 시스템도 갖춰야

인터넷 유명 포털사이트의 상업화·권력화에 따른 폐단은 포털이 인터넷 카페 내에서 발생하는 상업 활동이 현행법에 위배될 경우에만 제재에 나서고 있다는 한계 때문에 그 해결이 쉽지 않다.

 

현재 포털들은 카페 내 상업·홍보 활동은 해당 회원의 책임, 판단 하에 진행, 회원들의 상업 행위를 자율에 맡기고 있기 때문. 인터넷 판매를 금지한 품목을 거래하거나 불법적인 사행성 조장 등의 항목에 대해서만 게시물 삭제 등의 조치를 하고 있다.

 

그러나 카페 내 상업행위에 대해 자율을 원칙으로 내세우는 포털의 애초 취지와 달리 800만 개에 달하는 카페를 일일이 모니터링하는 게 쉽지 않은 점도 상업화·권력화를 사실상 제재할 수 없는 요소다. 때문에 사실상의 처벌과 제도 개선이 어려운 상태다.

 

전문가들은 일부 운영진들이 개입 조작하는 허위 게시물 때문에 소비자들이 인터넷에서 제대로 정보를 얻지 못하고 선량한 업체들의 정상적인 마케팅 활동이 위축되는 부작용이 크다고 지적한다. 이들은 이런 인터넷 커뮤니티 공간에서의 상업화와 권력화가 위험에 노출된 만큼 제재 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에 인터넷 카페의 상업화·권력화에 따른 폐단을 막기 위해서는 해당 행위를 공론화하고 네티즌들이 이를 스스로 인지할 수 있는 공간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대형 커뮤니티의 신뢰도를 확보한 운영진이 스스로 글을 올려 인터넷에 허위 상품평이나 광고 등을 올리는 경우엔 그 폐해가 더 심각하기 때문.

 

운영진이 홍보하는 글을 올렸을 경우 동종 경쟁업체의 글이 인터넷에 올라오면 그 글을 삭제하고 강퇴(강제 퇴출)시키는 방식의 방법을 사용, 구성원들이 이런 정황을 정확히 인지하기 어렵다.

 

카페 운영의 선순환 구조를 위해서라도 네티즌이나 회원이 특정 카페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카페 내·외 누리꾼들과 이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현재까진 일부 현명한 카페들은 위장한 홍보 글을 구분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신고하는 코너를 운영하기도 한다.

 

실제 도내 유명 맛집을 소개한 대형 포털사이트 한 카페 4만명의 회원이 정보를 교류하고 있다. 익명 신고방을 운영, 커뮤니티에서 이뤄지는 의심 상황에 대해서 신고하고 이에 대해 구성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현재의 소극적 공유방식을 벗어나 대형포털의 이런 인터넷 카페의 상업화와 권력화에 대한 네티즌의 판단을 이끌어낼 수 있는 특정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고 있다.

 

일례로 특정 인터넷 카페에서 운영진들이 회원들이 이득을 가로채는 행위에 대한 네티즌들이 이를 공론화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 건전한 운영 시스템을 기반으로한 카페의 자생력을 키워내는 방법이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포털과 마찬가지로 인터넷 카페의 권력화는 참신한 아이디어와 문화적 다양성을 사라지게 하는 위험한 요소인만큼 자정 작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보호해 나가야 한다”며 “자유로운 활동을 방해하는 권력화 카페를 견제하는 도구로 공론화 장을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