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연구원 대책 마련하라"

남원시 "떠났는데 어쩔 수 있나" 뒷짐 / 시민들, 당국 소극적 태도에 강력 질타

속보=남원 국립공원연구원이 최근 강원도 원주로 이전했으나, 남원시는 이에대한 별다른 대응전략을 마련하지 못한 채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국립공원의 대표적인 연구기관이자 국가기관을 타지역에 내준 남원시가 무엇을 얻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 및 전북도와 연계한 남원시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립공원연구원이 지난 5일 저녁 이삿짐을 싸면서 결국 남원을 등졌다. 국립공원연구원의 이전 움직임에 반발했던 남원시민들은 허탈감과 함께, 이전을 막아내겠다던 정치권 및 행정당국에 강한 불신을 드러냈다.

 

강동원 국회의원(새정치민주연합·남원 순창)은 지난 11일 국립공원관리공단을 찾아 “남원시민은 물론 전북도민들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항의한 뒤 국립공원연구원 이전에 걸맞는 이상의 새로운 조직 신설을 촉구했다.

 

이에 국립공원관리공단 박보환 이사장은 “남원시 주천면 정령치 소재 환경부 소유 국립공원연구원 부지였던 6411㎡(약 1910평), 건축물 842.74㎡의 3층 건물을 리모델링해 지역사회 균형발전 및 탐방서비스 기능 강화를 위한 탐방안내소, 둘레길 홍보관, 지리산 생태연구소 등 복합시설을 만들어 지역사회와 주민에게 도움을 주는 시설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약속이 제대로 이행될지, 국립공원연구원을 대체할만한 시설이 남원에 들어설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이런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남원시는 “떠났는데 어쩔 수 있느냐. 공단의 시설 추진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는 입장을 취하면서 공식적인 대응에 나서지 않고 있다.

 

시민들이 목소리를 높이는 이유가 이처럼 소극적으로 일관하고 있는 행정당국의 태도 때문이다.

 

시민들은 “해당 지역민들의 의견수렴은 물론 해당 지자체와 단 한차례의 협의도 없이 국립공원연구원이 남원을 무시한 채 야반도주 하듯 떠났다.그런데 남원시는 공식적인 항의조차 하지 않고 있다”면서 “정치권과 행정의 무능이 국립공원연구원의 이전을 막아내지 못했다. 후속 대책에 앞서, 정치권과 남원시는 시민을 대신해 공식적인 사과부터 받아내야 할 것”이라고 질타했다.

 

지난 2005년에 남원시 주천면에 자리를 잡았던 국립공원연구원은 국립공원의 자연, 역사, 문화, 사회, 인문, 환경 등의 연구를 통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설치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산하 국립공원연구원은 지난 9일 건물이 낡고 협소하다는 이유로 강원도 원주에 있는 옛 원주지방환경청 부지로 이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