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6일 이런 내용의 2011∼2012년 산업연관표 작성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관표는 새 국민계정 체계에 맞춰 실측조사를 통해 작성한 2010 기준년 산업연관표의 연장표로, 같은 기준의 장기 시계열은 아직 구축되지 않았다.
공장 자동화 등의 영향을 받는 취업유발계수는 전산업 평균으로 2010년 13.9명에서 2011년 13.4명, 2012년 13.2명으로 하락세를 거듭했다. 취업유발계수란 10억원의 재화나 서비스가 만들어질 때 직간접으로 창출되는 일자리를 말한다.
2012년 품목군별 취업유발계수는 서비스 18.0명, 건설 14.6명, 공산품 8.5명 순이었다. 서비스 가운데는 음식점, 숙박, 문화 및 기타 등을 포함한 소비자서비스가 27.0명으로 가장 크고 도소매 및 운송 17.2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