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1일 출범한 민선 6기 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해 현장 이해 부족, 차별화된 정책의 미비 등 우려와 함께 중소기업 지원 정책이 강화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기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 전북지역본부는 지난달 16일부터 20일까지 도내 90개 중소기업(제조업 46, 비제조업 44)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선 6기 지자체장에 기대하는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 의견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조사됐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내 중소기업·소상공인은 민선 6기 지자체장의 중소기업 정책 공약 만족도에 대해 32.2%만 만족(매우 만족 1.1%, 다소 만족 31.1%)한다고 답했다.
보통은 46.7%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고 불만족은 21.1%로 나타났다.
불만족 사유로는 중소기업 현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36.8%로 가장 높았다.
이외에 민선 5기 때와 차별화된 정책이 없음(31.6%), 구체적 계획 없는 말뿐인 공약(22.5%), 중소기업 지원 비중 너무 적음(5.3%)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민선 6기 지자체장 출범 후 중소기업 지원 정책이 강화될 것(42.2%)이라는 기대감과 지역 경제가 활성화될 것(38.9%)이라는 전망은 다소 높게 집계됐다.
특히 이번 전북도지사 당선자의 공약 가운데 가장 우선적으로 바라는 정책(복수 응답)으로는 ‘전북 경제민주화 기본 조례 지정’(50.0%)을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중소기업 간 신제품 공동 개발 지원 사업(44.4%), 융·복합 소프트웨어 강소기업 육성(32.2%), 지역 특화형 전통 시장 및 자영업 육성(27.8%) 등을 꼽았다.
또 중소기업 중심의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점 추진해야 하는 정책(복수 응답)으로 지역 맞춤형 자금·세제 지원(43.3%)을 가장 많이 택했고, 비정상적인 관행 및 제도·규제 개선(31.1%), 인력 미스매치 해소를 통한 인력난 완화(26.7%), 경제민주화 지속 추진(24.4%) 등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소상공인·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정책(복수 응답)으로 응답자의 65%가 지역 소상공인 조직 활동 지원을 꼽았다.
소상공인 신용보증 지원 체제 강화(35.0%), 맞춤형 교육·컨설팅 지원(25.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양갑수 중소기업중앙회 전북지역본부장은 “이번 조사 결과 전북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의 경제 민주화에 대한 열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들이 열악한 환경에서도 하나로 뭉쳐 자생할 수 있도록 강소기업 육성 정책과 영세한 소상공인들이 한목소리를 낼 수 있는 기초자치 단체별 소상공인 조직 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민선 6기 지자체장들이 중소기업의 튼튼한 성장 기반 마련에 힘써 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