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초·중·고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학생은 2013년도 통계로 3456명으로 조사되었다. 2010년 2172명에 비해 급격히 늘어난 숫자다. 한해 결혼 건수의 10% 정도가 국제결혼에 해당한다는 보고도 발표된 바 있다.
갈수록 늘어나는 외국인 노동자와 유학생들은 이제 우리 사회 곳곳에서 각기 맡은 일들을 해내는 대한민국의 일부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교육이 소홀해서는 안 될 것으로 보인다.
■ 생각 열기
1. 왜 ‘다문화’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는지 인터넷을 검색해 보고 그 이유를 알아보자.
2. 우리 사회가 다문화사회가 되고 있는 근거를 찾아서 발표해 봅시다.
3. 실제로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우리들도 용어로만 따지면 ‘다문화(多文化)’에 속한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다문화’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가져야 할지 옆 친구와 이야기를 나누어보자.
4. 우리 학교, 우리 학급에 외국인의 모습을 하고 있는 학생이나, 부모 중 한 사람이 외국인, 또는 부모 모두가 외국인인 학생이 있는지 조사해 보자.
5. 우리 사회에 ‘다문화교육’이 필요한 이유가 있다면 왜 그런지 말해 봅시다.
■ 생각 넓히기
1. 우리 학교에서 실시하는 다문화 교육이나,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이 있으면 그 내용이 무엇인지 발표해 봅시다.
(예시 : 전통의상 발표대회, 이중언어 말하기 대회, 우리의 음식 소개하기)
2. 다문화교육을 위해 우리 학교에서 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좋은 점과 고쳐야 할 점이 있으면 발표해 봅시다.
3. 전라북도에는 ‘다문화가족 교육센터’, 또는 ‘다문화가족 지원센터’가 있는지 알아보고, 어디에 있으며, 활동 내용은 무엇인지 조사해 봅시다.
4. 다음 글을 읽고 ‘쇄국정책’이 지닌 의의와 문제점을 각각 발표해 봅시다.
우리나라는 조선시대에 쇄국정책으로 인해 외국문물을 받아들이는 것을 거부하고 외국인을 배격하는 풍토를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외국의 새로운 문물이나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데는 지나치게 완고하면서도, 일부 선진국의 물질문명은 선호하는 모순을 보여 왔으며, 그 결과 다른 나라나 민족에 대해 매우 편견적인 태도와 사고를 가지게 되었다.
5.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언급하는 다음의 ‘추구하는 인간상’ 부분을 읽고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구절이 무엇인지 지적하고 의견을 나누어 봅시다.
△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
△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사람
6. ‘다문화가정’을 사전에서는 어떻게 정의를 내리고 있는지 찾아보고 다문화가정은 구체적으로 어떤 가정을 말하는지 다음의 내용으로 짐작해 봅시다.
|
|
7. 우리나라에는 다문화학생들을 위한 지원 내용이 다음 글에 언급된 것 외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해 봅시다.
다문화학생이 처음으로 7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는 올해 다문화 관련 교육지원을 위해 전년보다 약 60억원이 증액된 총 215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종전까지는 교육복지 차원의 수혜적 관점에서 다문화학생에 대한 교육지원에 중심을 두었으나, 올해부터는 통합·육성의 관점에서 다문화학생 지원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 사업도 지원합니다.
8. 위 글에서 고딕체로 표시된 〈교육복지 차원〉과 〈통합·육성의 관점〉이라는 용어의 차이는 무엇인지 설명해 봅시다.
■ 생각 나누기
1. 다음의 통계 자료를 보고 우리나라가 다문화교육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실질적이고도 구체적인 관심을 어떤 방향으로 정해야 하는지 자신이 다문화 교육 정책을 주관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정책을 만들어 봅시다.
〈한국 다문화 교육을 위한 조사 내용〉
△ 귀화인 10만명, 국내체류 외국인 130만명
△ 외국인 노동자 56만명, 불법체류 노동자 포함시 100만명 추산
△ 신혼부부 7쌍 중 1쌍 국제결혼
△ 2020년 20세이하 인구 5명중 1명, 신생아 3명중 1명이 다문화 가정의 자녀
△ 다문화 가정 자녀 2006년 2만5000명에서 2011년 12만2000명으로 5배 증가
△ 다문화 가정 자녀 재학률 : 초등86%, 중등84%, 고등79%
(일반학생 초등98%, 중등96%, 고등92%)
2. 다문화 정책은 사고의 틀을 벗어날 수 없다. 그러면 다음에 나타난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차이를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다문화 정책은 어디에 속하는지 생각하고 두 정책의 장단점을 정리하여 발표해 봅시다.
동화주의
- 주류문화에 동화시킨다는 의미로 ‘통합주의’라고도 함
- 소수집단을 주류사회에 동화시키는 것을 궁극적으로 목표
- 소수집단이 주류문화로 녹아드는 용광로 정책
- 동화주의 정책을 펴는 나라 : 미국, 프랑스 등
다문화주의
- 소수집단의 고유성과 특수성 인정
- 소수집단의 문화와 권리 보호
- 샐러드, 비빔밥 정책 : 다양한 문화를 섞고 비벼 융화
- 다문화주의 정책을 펴는 나라 : 캐나다, 뉴질랜드 등
3. 전라북도교육청에서는 다문화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어떤 정책들을 펼치고 있는지 조사하고 위에 제시한 두 가지의 정책 중에 어디에 해당하는지 발표해 봅시다.
4. 다문화 교육이 자칫하면 ‘그들’과 ‘우리’를 차별하는 내용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므로 우리 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차별의 문화, 또는 문화 우월주의는 없는지 살펴보고, 있다면 그런 것들을 어떻게 고치고 개선해야 좋을지 방법을 나눠봅시다.
|
|
5.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은 두 개의 언어를 사용하기 쉬운데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면 좋은 활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하고 발표해 봅시다.
6.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화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진로와 직업을 선택하도록 연계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 학교에서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이 선택하는 진로나 직업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해 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발표해 봅시다.
■ 생각 더하기
다음 기사를 읽고 우리 학교에서 실시하면 좋을 것 같은 다문화 행사를 학생자치회 주관으로 계획해서 실행해 봅시다.
|
|
동암고 총학생회가 주관하고, 전주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후원한 이번 행사에는 동암고 1학년 모든 학생이 참여했다.
행사는 △중국과 태국의 전통예술 공연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필리핀 등의 다문화 현지인들과 동암고 학생 간의 대화 △각국의 음식과 복식 체험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학생들은 “다채로운 체험을 통해 다문화에 대한 열린 시각과 사고를 얻게 됐다”며 기뻐했다.
김진태 교장은 “다문화 이해와 체험을 통한 글로벌 인재양성을 목표로 실시한 이번 행사에서 학생들이 더불어 함께 사는 긍정적 마인드를 형성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북일보 2014. 5. 29)
■ 알아두면 좋아요
△ 예비학교
한국어가 서툰 중도입국 자녀 등이 정규학교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한국어와 한국문화 적응 프로그램을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기관
△ 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 대학생 멘토링 사업
근로 장학금을 받는 대학생이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공공시설 등을 이용, 무료로 기초학습·진로지도를 실시
△ 글로벌 브릿지 사업
수학·과학, 예체능 등에 우수한 자질이 있는 다문화 학생을 글로벌 리더로 육성하는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