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전주시가 주최하는 공식 행사에서 식전 공연은 사라진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3일“문화예술인에 대한 존중과 행사 간소화 차원에서 그동안 공식행사에 앞서 의례적으로 치러졌던 식전 공연행사는 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시장의 이 같은 결정은 식전 공연행사가 형식적이고 시간 때우기 식으로 흐르는 것에 대한 문제 의식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김 시장은 “실제 각종 행사에 가 보면 본 행사에 앞서 문화예술인 초청 공연이 펼쳐지지만, 정작 참석자들은 각자 일을 보느라 공연에는 별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면서 “이는 문화예술인들이 모멸감을 느낄 수도 있는 상황으로, 문화예술인들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며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김 시장은 “공연료 또한 낮게 책정되는 등 문화예술인에 대한 예우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면서 “전통문화예술도시를 지향하는 전주시에서 먼저 문화예술인을 제대로 대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식전 공연을 없애는 대신 다양한 공연기획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시장은 이 같은 이유로 이달 1일 전주시청 강당에서 열린 취임식 행사에서 식전 공연을 취소했다.
한편 김 시장은 이날 시장실에서 국·소·구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취임 후 첫 간부회의를 열고 “시정이 바뀌려면 공직사회의 변화는 필수”라며 공무원들의 헌신과 열정을 당부했다. 이어 “모든 직원이 마음껏 소신껏 역량을 펼 수 있도록 시장 역할을 다하고, 책임도 시장이 지겠다”면서 “그러나 무사안일과 복지부동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현안과 관련해서는 △시내버스 문제는 시민 이동권 문제인 만큼 시에서 적극 개입해 해결하고, △종합경기장 개발 사업은 ‘쇼핑몰은 반대하지만 컨벤션·호텔은 그 장소에 있어야 한다는데 공감한다’며 전문가 토론 또는 서울 용산공원과 같은 국제공모 방안 등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교도소 이전과 항공대 이전은 원칙과 명분을 지켜 절차대로 추진하고, △전라감영은 백지화가 아니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깊이 있는 논의를 거쳐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전주 한옥마을에 대해서는‘많은 노력을 통해 성공을 거뒀다’며 최근들어 제기되고 있는 위기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