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여행 시행방안은 전형적 탁상행정"

김승환 교육감, 간부회의서 교육부에 쓴소리

   
 
 

김승환 교육감이 7일 교육부를 향해 작심한 듯 쓴소리를 던졌다.

 

김승환 교육감은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 “교육부가 발표한 안전하고 교육적인 수학여행 시행방안은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고 질타했다.

 

김 교육감의 이 같은 발언은 최근 전교조 전임자 복귀 유보 등과 맞물려 교육부와의 갈등이 재점화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는 가운데 나왔다는 점에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에 대해 김 교육감 측은 “교육부와의 대립은 별개의 사안”이라며 “교육부의 안이한 행정 조치에 대해 문제제기 삼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육감은 이날 “세월호 침몰 참사의 근본 원인은 수학여행이 아니라 선박업체 운행에 관한 관리감독을 했어야 할 국가가 그 책임을 방기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면서 “수학여행에 관한 또 다른 대책을 내놓으면 그런 참사가 없어질 것처럼 말하는 것은 국가 부도덕성의 극치”라고 지적했다.

 

특히 교육부가 ‘안전지도사 국가자격제도를 신설하고, 3~4학급 100명 미만 소규모 테마형 수학여행을 원칙으로 하겠다’는 방침과 관련해 그는 “세월호 같은 배에 소규모로 여행하는 학교들이 20곳 가량 모였다면 문제가 안됐다는 건가”라고 반문하면서 “‘교육부는 수학여행과 관련해 가만히 있는 것이 현장을 도와주는 것’이라는 극단적인 말을 해도 방어할 말이 없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전북교육청은 교육부와 별개로 2학기부터 수학여행 실시 여부, 행선지 결정 및 기간, 수학여행 형태 등 관련된 사항을 원칙적으로 단위학교의 자율적 판단에 맡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