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교도소 이전작업이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전주시가 이달 2일 지난 4월부터 3개월간 교도소 이전후보지 공모를 마감한 결과, 자격을 갖춘 신청지역이 없어 후보지 공모가 무산됐으나 이후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주시는 이달 2일 마감한 공모에 신청했다가 조건 미충족으로 보류된 2개 예비후보지에 대해 이달 11일까지 ‘인근 주민의 50% 이상 동의’를 요구했다. 그러나 마감 시한을 넘긴 12일 현재까지 주민동의를 구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추가 인센티브 방안 마련에 나섰으나, 이 또한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시는 지난주 법무부를 방문해 인센티브를 추가로 제시할 것 등을 건의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법무부가 제시한 인센티브는 체육시설, 녹지공간, 주차장 등을 조성해 주민에게 개방한다는 것 뿐이다. 법무부의 인센티브가 미미하자, 전주시는‘주민 상생 발전 사업’으로 30억 원을 투입해 △교도소 이전 지역 진입 도로 개설 △마을 앞 보도 설치 △도시가스 분기 허용 △상·하수도 설치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그러나 이는 인센티브가 유치 희망지역 주민들이 실질적으로 바라고 있는 직접 보상 등과는 적잖은 차이가 있어 주민들의 관심을 끌기에는 역부족이었고, 1차 후보지 공모가 무산된 주된 요인중 하나로 분석되고 있다.
이처럼 후보지 공모가 마감된 지 10여일이 지나도록 이렇다할 대안이 마련되지 않음에 전주시의 고민은 깊어만 가고 있다.
이에 시는 재공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법무부의 협조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가 별도의 예산을 들여 추가 인센티브를 마련하는 것도 쉽지 않아 진통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현 전주교도소 부지 내에 재건축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법무부도 유치 희망 지역이 없을 경우, 현 부지에 교도소를 재건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전주교도소는 지난 1972년 11만㎡ 규모로 조성될 당시에는 평화동에 위치, 도심 외곽에 자리했으나 이후 도시 팽창과 재산권과 주거환경 개선 등을 주장하는 주민의 이전 요구가 잇따랐다. 이에 시는 지난 2000년 삼천동 쓰레기매립장 조성 때 후보지 공모방식으로 부지를 마련했던 사례를 들어 이번 전주교도소 이전에 후보지 공모방식을 도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