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전주 송천동 206항공대의 임실 이전 문제가 최근 단행된 전주시와 임실군 간의 인사교류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주시는 이달 10일자 인사에서 송기항 전주시의회 사무국장과 신현택 임실 부군수를 맞교환하는 교류인사를 단행했다.
송기항 국장이 임실 부군수에 내정됐고, 신현택 부군수는 항공대 이전과 35사단 이전부지내 에코시티 조성사업을 총괄하는 전주시 도시재생사업단장에 임명됐다.
이번 인사에서 항공대 임실 이전에 반대입장을 취해왔던 신 부군수로서는 매우 곤혹스런 상황이지만, 그동안 대화창구를 찾지 못해 애를 먹었던 전주시로서는 꽉 막힌 항공대 이전문제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에 기대를 걸고 있다.
그동안 항공대 임실 문제는 단 한 걸음의 진전도 보지 못했다. 논의는 지난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졌다.
현재 항공대 이전문제는 임실군의 합의가 절대적이다.
국방부는 지난해 2월 개정된 국방부 대체시설 기부체납에 따른 양여사업 훈령에 ‘이전예정지역 해당 자치단체장과의 협의결과를 시설관리자에 제출해야 한다’고 명시하면서 항공대 이전 예정지인 임실군수와의 합의를 강조했다.
그러나 협의는 임실군과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불발됐다. 결국 합의를 이끌어내지도 못한 채 국방부가 제시한 임실군과의 기부대양여 합의각서 제출시한(2014년 5월 20일)을 넘겨 버렸다.
당시 임실군과의 협의는 실무진들의 회의는 고사하고, 실무진간의 만남 자체도 이뤄지지 못할 정도로 원천봉쇄됐다.
이런 가운데 이달 2일 출범한 민선 6기 김승수 전주시장이 항공대 이전문제를 들고 나왔다. 김 시장은 인사교류를 통해 단초를 찾으려 했다.
전주시와 임실군의 상황을 잘 알고 있는 고위급 공무원의 교류를 통해 최소한의 대화채널은 마련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당장은 아니더라도 오랜동안 양 지역을 가로막았던 불신의 벽이라도 허물어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뚫어보겠다는 것이다.
이에 당사자인 송기항 전 국장이나 신 전 부군수는 “현안을 면밀히 검토한 후 양 지역이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볼 생각”이라며 말을 아끼고 있다. 이번 김승수 시장의 인사카드가 어떤 결론을 이끌어낼지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