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저수지 10곳 중 8곳이 내구연한을 넘기는 등 노후화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장마철을 맞아 철저한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4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내 저수지 2248개소의 78.2%인 1758개소가 축조된 지 50년 이상에 달하는 등 내구연한(50년)을 넘겼다.
이는 최근 국회 입법조사처가 발표한 전국 저수지 평균 노후율 69.5%를 웃도는 것이다.
이 같은 저수지 노후화는 퇴적층 누적과 붕괴·누수로 인한 대형 재산·인명피해를 불러올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실제 지난해 4월 12일 경북 경주 산대저수지가 붕괴됐다.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농경지 약 1.5ha가 매몰되고 주변 주택·상가·차량 등이 침수됐다. 이 저수지는 1964년 축조된 것으로 올해 내구연한이 다 된다.
조사 결과 토사 유출 심화가 붕괴 원인으로 지적됐으며, 전문가들은 저수지의 노후화와 관리 부실이 사고의 근본 원인인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 호우 가능성을 반영한 저수지 관리·감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국회입법조사처 배민식 조사관은 “최근 이상기후 현상으로 저수지의 설계 기준을 초과하는 집중 강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노후 저수지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며 “철저한 예방·점검과 함께 저수지 붕괴와 같은 위기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반복 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현재 이원화된 저수지 관리 체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면서 “시·군과 농어촌공사로 나뉘어 있는 저수지 관리를 하나로 묶는 통합형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손재권 전북대 지역건설공학과 교수도 “도내 시·군의 경우 재정상태가 열악해 저수지 유지·보수 관련 예산 확보가 어려울 수도 있다”며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관리를 위해선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 또는 일원화가 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북도는 노후화된 저수지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보수를 통해 안전사고 위험성을 줄여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도 관계자는 “내구연한을 넘겼다고 해서 저수지 노후화가 진행된 것은 아니다”며 “분기별 점검을 통해 문제점이 발견된 저수지에 대해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는 등 위험요소를 줄여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도내 저수지 2248곳 중 1833곳(81.5%)은 일선 시·군에서, 나머지 415곳(18.5%)은 농어촌공사 전북지역본부에서 맡아 관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