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종합경기장 부지 내 전시·컨벤션센터 건립사업을 재개했다.
전주시는 14일 종합경기장 부지에 전시·컨벤션센터를 신축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 공유재산 관리계획안을 전주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시의회는 오는 17일부터 24일까지 임시회를 개회하고, 안건을 다룰 예정이다.
‘전시·컨벤션센터 건립을 위한 공유재산 관리계획안’이 시의회에 제출됐다는 것은 그동안 논란이 있었던 전시·컨벤션센터의 위치가 종합경기장 부지로 최종 결정됐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앞으로 본격적인 사업추진이 예상된다. 전시·컨벤션센터 위치는 종합경기장 외에 혁신도시 및 전주시와 완주군의 경계 지역 등이 거론됐다.
그러나 관리계획안에서는 지역 중소상인 및 시민사회단체가 반대하고 있는 대형 쇼핑몰 및 호텔건립 계획은 빠졌다.
전주시 관계자는 “종합경기장 개발사업은 크게 국비와 지방비가 투입(재정사업)되는 전시·컨벤션건립 사업과 민자로 추진되는 호텔 및 쇼핑몰 건립사업으로 나뉜다”면서 “이번 공유재산 관리계획안에는 전시·컨벤션건립만 포함했으며, 논란이 된 호텔 및 쇼핑몰은 제외했다”고 말했다.
호텔 및 쇼핑몰은 김승수 전주시장이 후보시절부터 강력 반대해온 터라 향후 진행될 종합경기장 개발사업에서도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전시·컨벤션센터 건립비는 총 590억원으로, 국비가 50% 지원된다. 현재 70억원의 국비가 확보된 상태다.
그러나 종합경기장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전시·컨벤션센터를 건립할 경우, 대체시설(종합경기장)을 건립해야 하기 때문에 향후 대체시설 건축비용(1100억원) 확보가 과제로 남게됐다. 애초 전주시는 대체시설 건립비용 마련을 위해 민간자본을 끌어들여 호텔 및 쇼핑몰 건립을 추진했었다.
또한 쇼핑몰 등이 제외된 전시·컨벤션의 경우, 여타 자치단체에서 보듯 적자를 면키 어렵다는 측면에서 보완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해 김승수 전주시장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종합경기장 개발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봐야 된다”면서 “종합경기장과 버스터미널, 법원과 검찰의 만성지구 이전으로 공동화 현상이 우려되는 덕진동 일대를 아우르는 담대한 계획이 세워져야 한다”며 별도의 대책을 구상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애초 종합경기장 개발계획은 오는 2016년까지 1600여억 원을 들여 경기장 부지에 쇼핑몰·영화관 등을 갖춘 컨벤션과 200실 규모의 호텔 등을 짓는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