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을 위한 한옥마을이냐, 주민을 위한 한옥마을이냐.”
전주 한옥마을이 관광객이 500만 명을 넘어서는 등 관광객 급증으로 포화상태에 다다르면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한옥마을 내 거주민들이 생활불편을 호소하며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지난 21일 한옥마을 내 최명희 문학관에서 열린 ‘전주한옥마을 발전을 위한 전주시장 초청 간담회’. 3시간여 동안 진행된 이날 간담회에는 150여명의 주민들이 참석, 한옥마을 발전을 위한 의견과 함께 그동안 쌓였던 각종 생활 속의 불만들을 쏟아냈다.
주민들은 한옥마을 주변 교통 체증과 주차문제를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 제기했다.
한 주민은 “주말이면 붐비는 관광객들 때문에 내집에도 맘대로 들어가지 못할 정도이고, 주택가에까지 빼곡히 들어선 외부 차량들로 인해 주차도 제대로 하지 못한다”고 호소했다. 또 한옥마을 내 음식점 등에서 풍기는 음식 냄새와 민박 관광객들의 소음 등으로 밤잠을 이루기가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특히 전주 한옥마을이 타 지역 한옥마을 보다 비교 우위에 있는 ‘주민들이 실제 거주하는 생활형 한옥마을’의 정체성이 훼손되는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전주 한옥마을보존협의회 이세중 고문은 “전주 한옥마을이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거주민들의 행복도가 높아야 하는데 현재는 거주민들의 행복도가 낮다”면서 “실제 거주하지 않는 외지인들은 자꾸 늘어나고 한옥마을 인구는 줄어들어 걱정이다”고 지적했다.
전주시에 따르면 한옥마을에서 생활하는 거주민 수는 감소하는 추세로, 지난해 말 기준 거주민은 총 729세대 1534명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올해는 더욱 줄어 현재는 1300여명 선을 유지하는 것도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같은 거주민 수 감소와 치솟는 지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실생활에 필요한 이발소나 세탁소 등의 근린생활시설들은 수지를 맞추기가 힘들어 하나 둘씩 한옥마을을 떠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주민들의 생활 불편은 가중되고 있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이에 주민들은 전주천변에 남부시장 연계 주차장 조성과 주차정액권 발급(무료 주차), 쓰레기통 및 공공화장실 확대 설치, 한옥마을 안전성을 위한 소방도로 확보, 무분별한 음식점 규제, 한옥마을 거주민을 위한 세제혜택 등의 지원 대책을 요구했다.
이세중 고문은 “전주시는 관광객 500만 시대를 넘어 1000만 시대로 목표를 잡고 있는데, 이제는 한옥마을에 대한 시정방향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면서 “한옥마을이 활성화되면서 마을에 활기가 느껴지고, 지가도 오르는 등 좋은 점도 있지만 전주 한옥마을은 거주민들이 있어야 하는 만큼 이들이 생활하는데 불편함이 없는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제기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한옥마을 주민의견과 함께 전주시민, 한옥마을을 방문한 관광객 등의 다양한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한옥마을 장기적인 발전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