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중학교 입학생부터는 소프트웨어(SW) 교육을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한다. 초등학교는 2017년, 고등학교는 2018년부터 정식으로 SW 교과목을 편성한다. 이와 함께 SW를 기반으로 한 산업 고도화와 ‘SW 제값 받기’를 위한 저작권 강화 방안도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미래창조과학부·교육부·산업통상자원부·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 부처는 23일 경기도 판교 테크노밸리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SW 중심사회 실현 전략보고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SW 확산 전략을 제시했다.
정부가 이날 발표한 ‘소프트웨어(SW) 중심사회 실현전략’은 SW를 기반으로 국가시스템과 산업 구조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는데 초점을 뒀다.
이번 전략은 △ 미래형 창의인재 양성 △ SW 기반의 새로운 시장 창출 △ SW로 국가시스템 변혁 △ SW 산업구조 혁신 등에 중점을 뒀다.
특히 SW를 초·중·고교의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하는 등 조기 교육을 활성화해 창조경제의 핵심이 될 SW의 저변을 넓히겠다는 정부의 강한 의지가 담겼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보고회에서“우리도 소프트웨어 중심사회의 주역이 될 미래세대가 ‘컴퓨터적 사고’를 기본 소양으로 갖출 수 있도록 초·중등학교에서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며 “영국과 인도에서는 이미 초·중등 전 과정에 걸쳐 ‘컴퓨팅’ 교과를 필수로 가르치고 있고, 일본과 중국도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우선 고급인력 양성을 위해 SW를 초·중·고교 교육과정에 포함시키기로 했다.
정부는 올 하반기 ‘SW교육 운영 지침’을 마련, 중학교의 기존 정보 교과를 SW 교과로 개편해 당장 내년도 신입생부터 SW 수업을 의무 이수하도록 할 방침이다. 대학 입시를 준비해야 하는 고등학교는 SW 교육을 권장하되 2018년부터 SW를 국어·영어·수학처럼 일반 선택과목으로 분류해 교육 기회를 확대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