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에 있는 민방위 비상대피시설에 대한 홍보와 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주·군산·김제를 제외한 전북지역 11개 시·군에는 ‘정부 지원 민방위 비상대피시설’이 단 한 곳도 없었다. 그나마 필요 부대시설(화장실·발전기·급수시설)이 모두 마련된 비상대피시설은 아예 없었다. 또 도민 대부분은 거주지 인근 비상대피시설 위치를 제대로 알지 못했다.
도내에는 정부 지원 민방위 비상대피시설이 전주(6곳)·군산(2곳)·김제(1곳)에만 갖춰져 있다. 약 86만명의 도민이 정부지원 민방위 비상대피시설이 없는 시·군에 거주하는 셈이다.
이미 정부 지원 민방위 비상대피시설을 갖춘 전주의 경우에도, 2곳은 80㎡(약 24평) 면적으로 최대 수용인원이 각 96명에 불과했다. 비상대피시설은 3.3㎡(1평)에 4명까지 수용할 수 있다고 본다.
또 전주의 5곳은 발전기와 급수시설이 구비되지 않았고, 3곳은 화장실이 없었다. 특히 지난 1977년에 마련된 진북동 학생회관, 금암동 금암초등학교, 덕진동 종합경기장의 비상대피시설은 필수 부대시설 중 1개도 갖춰지지 않았다. 급수시설을 갖춘 비상대피시설은 도내에서 전주 다가동 다가대피호 뿐이었다.
이에 대해 전북도 관계자는 “민방위 비상대피시설은 지난 2010년의 연평도 포격사건이나 유사시 공중폭격 등에 대비하는 시설인데, 전국적으로 상황이 열악하고 수용인원도 부족하다”며 “도내 정부 지원 민방위 비상대피시설 대부분은 1970~80년대에 지었고, 가장 최근에 건립한 것도 약 20년 전 군산시 조촌동(군산시청)에 마련된 것”이라고 밝혔다.
민방위 비상대피시설은 크게 정부지원 시설과 공공용 지정시설로 나뉜다. 도내 공공용 지정시설은 14개 시·군에 804개가 있지만 이곳은 아파트 지하주차장이나 건물 지하실 등으로 제대로 된 ‘대피소’개념이 아니며 비상시 생활에 필요한 장비도 갖춰져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가 합심해 안전 대책을 보완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비상대피시설을 확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전북도청이나 각 시·군 인터넷 홈페이지 안전담당 부서에 접속하면 민방위 비상대피시설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