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장수군의 군 금고 협력사업비 4억원 가량이 실제 존재하지도 않은 ‘유령사업’에 쓰였다는 보도와 관련, 이 사건의 핵심 인물이 이 같은 사실을 은폐하려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8일자 1면·19일자 6면 보도)
‘군 금고 협력사업비 4억원 증발’의혹 사건의 핵심 인물인 전직 장수군 고위공무원이 당시 군 금고 협력사업비로 사업을 진행했다는 업자들을 대상으로 이 같은 의혹을 숨기려 했다는 것으로, 적잖은 파문이 예상된다.
최근 본보가 만난 건설업자 A씨는 “이 사건이 (언론에)보도되면서 의혹이 불거지자 당시 ‘견적서를 내라’고 했던 고위공무원이 군 금고 협력사업비로 사업을 진행했던 건설업자들을 불러 입을 맞추려 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이 고위공무원은 나에게도 전화해 ‘맞출 것은 좀 맞추자’고 했다”면서 “그렇지만 명백한 불법이기 때문에 (나는)거절했다”고 밝혔다.
A씨는 “납품을 했으면 구입 자료가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세금서나 청구서도 없었고 사업도 진행하지 않았는데 맞출 것 자체가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A씨는 “공사를 진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대금이 입금된 것은 사실이며, 이 돈을 고위공무원에게 가져다 준 것도 맞다”면서 “다 사실인데 (더 이상)숨길 것이 없다”고 덧붙였다.
A씨의 주장이 사실일 경우 그동안 제기됐던 ‘실제 존재하지도 않은 유령사업에 군 금고 협력사업비가 지급됐고, 그 돈은 고스란히 전직 장수군 고위공무원에게 들어갔다’는 의혹에 상당한 무게가 실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해당 고위공무원은 “군에서 어떻게 감사를 했는지는 몰라도 당시 사업을 진행한 것은 맞다”면서 “군의 감사 결과는 잘못된 것이다”고 반발했다.
이에 본보는 서류상 군 금고 협력사업비를 받아 사업을 진행한 것으로 의심되는 또 다른 건설업자들과 연락을 시도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결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관련 서류를 확보하는 등 이 사건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조만간 사건의 진상이 밝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장수군은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농협으로부터 군 금고 협력사업비로 총 12억원을 지원받았다. 이중 3억원(2012년, 2013년 각 1억5000만원)은 군 예산으로 편성됐지만, 나머지 9억원은 군의 요청에 따라 군 금고인 농협이 해당 사업자에게 직접 지급하는 방식으로 사용됐다. 하지만 군의 자체 감사결과 사업비로 지급된 9억원 중 논란이 되고 있는 4억3000만원 가량은 지출된 근거 자료가 확인되지 않으면서 의혹이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