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의 차기 총장 선출방식이 사실상 간선제로 고착화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총장임용후보자 추천위원 가운데 외부인사 12명을 어떻게 객관적으로 구성할 것인가를 놓고 후속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두드러지고 있다.
전북대는 다음달 안으로 공모제를 통해 총장선거를 통해 차기 총장을 선출하기 위한 첫단추격으로 이르면 3일 교수 30명과 직원 5명 등 35명이 참여하는 총장임용후보자 선정관리위를 출범시킨다.
이보다 앞서 본부는 지난 4월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을 위한 규정과 시행규칙 제정을 마무리한 상태다. 총장임용후보자를 선정하게 될 추천위는 교수·직원·학생으로 구성된 학내위원 36명, 학외위원 12명 등 48명으로 구성된다. 선거운동 과열 등 직선제 폐해를 막기 위해 교수위원의 경우 단대별 배정 인원에 따라 무작위 추첨으로 선정한다.
이와 함께 학외위원 12명의 경우 ‘교수와 직원들의 추천을 받은 사람을 대상으로 배정 인원만큼 무작위 추첨을 통해 선정한다’는 방침이지만 추천대상 및 선정절차가 모호하다는 점에서 선거를 앞두고 개선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게 상당수 입지자 및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실제로 전북대 총동창회(회장 김영)는 2일 △현행 학칙에 따라 공모제 방식으로 총장 임용후보자를 선출하고 △10인의 총장임용 입후보자들은 자신들의 정책비전을 제시하고 공개하고 △교수회와 대학본부는 이에 대한 검증방법과 토론회 실시 일정을 공개하고 △총장 임용후보자를 선출할만한 능력과 자격이 있는가를 객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외부 추천위원의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자격 요건을 규정하고 이를 공개하고 △외부 추천위원 12명이 민주적이고 공정하게 선출될 수 있도록 선출방법을 정하고 이를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총동창회는 “전북대의 발전, 나아가 지역사회의 발전을 이끌 수 있는 능력과 비전을 가진 총장임용후보자를 선출하여야 한다”면서 “인재양성과 연구성과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인사는 학내 구성원에게 맡기고, 지역사회 발전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외부인사 12명은 20만 회원을 가진 동창회와 200만 전북도민을 대표하는 지역인사가 참여하여야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총동창회에도 상당수 입지자들이 보다 객관적인 외부인사 추천절차에 대한 보완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선정관리위의 향후 역할에 관심이 모아진다.
한편 직선제 선거를 주장하고 있는 교수회의 경우 선관위가 선거관리 수탁을 거절하고 있는 데다, 사무총장이 사퇴하는 등 내우외환이 겹치면서 난관에 봉착한 상태다. 이에 따라 교수회의 직선제 강행 의지는 사실상 꺾인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