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서부신시가지를 비롯해 전주시내 도로 폭이 7m 이내인 이면도로마다 불법 주·정차된 차량들로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야간에 상가 밀집지역 주변에는 주차장을 방불케 할 정도로 이면도로 양쪽으로 차량들이 불법 주·정차돼 이곳을 지나는 차량들의 교행이 어려워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하지만 이를 관할하는 행정기관에서는 불법 주·정차 단속 이외에는 별다른 대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어 시민들만 큰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15일 낮 12시 전주시 효자동 서부신시가지. 본보가 서부신시가지 상가 밀집지역의 이면도로를 확인한 결과, 이면도로마다 불법 주·정차 차량이 꼬리를 물고 있었다. 야간에는 상황이 더 심각했다. 이면도로마다 주차 공간을 찾는 차량들과 이미 불법 주·정차된 차량들이 맞물려 잘못 진입했다가는 수십 미터를 후진하는 상황이 쉽게 목격됐다.
뿐만 아니라 전주시내 아파트 단지와 주택가 주변 이면도로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이렇다보니 이면도로 내 불법 주·정차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차량의 통행에도 방해가 돼 대형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도 컸다.
그나마 주간시간대는 관할 구청의 불법 주·정차 단속차량이 계도와 단속을 병행하고 있지만 야간에는 민원이 접수돼야 단속을 하고 있는 것.
구청 관계자는 “불법 주·정차 차량에 대한 단속만이 능사가 아니기 때문에 주간에는 단속차량이 돌아다니면서 불법 주·정차 차량에 대한 계도와 단속을 병행하고 있지만 야간에는 민원이 접수돼야 단속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욱이 서부신시가지 전북도청 앞 상가 밀집지역에는 공영주차장이 4곳 마련돼 있지만 총 주차면수는 220대에 불과하다. 이렇다보니 이면도로 내 불법 주·정차가 어쩔 수 없다는 게 시민들의 목소리다. 단속도 중요하지만 교통소통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
전주 서신동에 사는 김모씨(43)는 “공영주차장이 협소하다보니 아예 도로가에다 주차를 하게 된다”면서 “불법인 줄은 알지만 어쩔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시민 최모씨(37·여·평화동)는 “서부신시가지에서 모임을 많이 하게 되는데 올 때마다 주차할 곳을 찾아 헤맨다”면서 “이면도로에 잘못 들어서면 앞에서 오는 차량과 도로 중간에서 만나 어떻게 할 줄 몰라 애를 먹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고 토로했다.
최씨는 이어 “어차피 서부신시가지는 주차공간이 부족해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홀짝제 주차를 허용하거나 일방통행을 확대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전주시 관계자는 “서부신시가지 이면도로마다 불법 주·정차가 심한 것은 사실이다”면서 “경찰과 협의해 도로 중앙에 (돌로 차선을 막은) 연석을 설치하는 방안 등에 대해 검토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