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새만금 기본계획(MP)을 변경, 용지 체계를 개편하면서 삼성그룹의 새만금 투자 약속에 대한 신뢰성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전북도의회 양용모 의원은 1일 도의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 2011년 4월 삼성이 전북도 및 국무총리실 등과 체결한 새만금 투자 양해각서(MOU)를 즉각 공개하라”고 전북도에 촉구했다.
지난달 25일 새만금위원회 심의를 거쳐 변경된 새만금 기본계획에서 삼성의 투자 예정지인 신재생에너지용지가 국제협력용지로 개편된 만큼, MOU를 공개해서 삼성 투자와의 연관성에 대한 의혹을 해명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양 의원은 “새만금사업은 환경 논란을 거치면서 생태환경용지와 신재생에너지용지에 대한 관심이 컸다”면서 “그런데 이번에 변경된 새만금 기본계획에서 신재생에너지용지의 명칭이 사라진 것은 결국 삼성이 투자를 하지 않아도 되는 명분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배경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양 의원은 또 “그동안 수차례 MOU 공개를 요청했지만 전북도는 불가능하다고 맞섰다”면서 “새만금 기본계획에서 신재생에너지용지가 없어진 것은 삼성 투자가 실질적으로 무산될 것을 의식한 조치는 아닌지 의문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삼성은 지난 2011년 4월 새만금 신재생에너지용지에 2021년부터 20년에 걸쳐 풍력·태양전지 등을 포함하는 ‘그린에너지 종합산업단지’를 구축하기로 하고, 정부 및 전북도와 양서각서(MOU)를 체결했다. 삼성은 특히 2021년부터 2025년까지 1단계로 7조6000억원을 투자해 풍력발전기·태양전지 생산기지, 그린에너지 연구개발센터 등을 구축하기로 했다.
양 의원은 이와 관련 “당시 LH 본사 전북 이전이 무산되면서 도정에 대한 비판이 높아진 시기였다”면서 “이에 따라 LH 문제를 정치적으로 덮기 위해 정부와 전북도가 서둘러 삼성의 새만금 투자 카드를 정치적으로 활용했다는 의혹을 받았고, 이는 지금도 해소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