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남북대화 정례화 이뤄야"

수석비서관 회의…"개헌논의, 경제블랙홀 유발" 반대

▲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남북회담 준비 등에 대해 모두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은 6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북한 최고위급 3인방의 전격적인 방남(訪南)에 따른 남북 고위급 접촉과 관련, “이번 고위급 접촉이 단발성 대화에 그치지 않고 남북대화 정례화를 이뤄 평화통일의 길을 닦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며 새로운 남북관계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에 북한의 황병서 총정치국장을 포함한 고위대표단이 (인천 아시안게임) 폐막식에 참석하고 우리 당국자들과 면담하고 돌아갔다. 이번 방문을 계기로 남북이 대화를 통해 평화의 문을 열어나가기를 바란다”며 “그동안 남북관계는 남북접촉 후에도 분위기가 냉각이 되는 악순환이 반복돼서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지 못했다. 이번에 남과 북이 제2차 고위급 접촉에 합의한 것은 향후 남북관계 개선의 전기를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국가안보실과 외교안보수석실은 통일부 등 관계 부처와 협력해서 회담 준비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 방문을 계기로 남북이 대화를 통해 평화의 문을 열어나가기를 바란다”며 “이번 고위급 접촉이 단발성 대화에 그치지 않고 남북대화 정례화를 이뤄 평화통일의 길을 닦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북한도 이번 방한시에 언급한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진정성 있는 행동으로 보여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의 이같은 언급으로 인해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을 비롯한 북한 최고위급 인사의 전격적인 방남으로 남북간 대화가 복원되면서 북미, 북일, 북중 관계 등 한반도 주변 정세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지난 8월 말 한미 연합군사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 종료 이후 계속되던 이른바 ‘유사 안정 상태’(대화도 도발도 없는 상황)가 끝나고 한반도 정세의 기조가 대화 국면으로 일단 전환됐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정치권 일각에서 개헌 논의가 점화하는데 대해 “장기간 표류하던 국회가 정상화돼 이제 민생법안과 경제 살리기에 주력해야 하는데 개헌 논의 등 다른 곳으로 국가역량을 분산시킬 경우 또 다른 경제 블랙홀을 유발시킬 수 있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박 대통령은 “지금 우리에게는 그 어떤 것도 경제 살리기에 우선할 수 없다. 경제회생의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고 국민 안전과 공직사회 혁신 등 국가 대혁신 과제도 한시가 급한 상황”이라며 올해 초 신년 회견 때에 이어 9개월 만에 역시 개헌에 대해 반대 메시지를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