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수혜처로 꼽히는 분야는 상가와 같은 수익형 부동산이다. 구조적으로 대출 의존도가 높은 편이라, 이자 감소분이 실수익으로 직결됨은 물론이고 간접적으로는 수익률 증가에 따른 건물가치 상승효과까지 발생하기 때문이다. 새로 분양하는 상가는 금리효과에 따른 투자수요 유입 기대감이 한층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주택시장은 매매와 임대차가 서로 다르게 반응할 것으로 보인다. 매매시장은 줄어든 이자부담 만큼 신규 진입도 쉬워진다는 점에서 제한적이나마 매수세의 유입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반면 또 한번 보증금의 가치가 떨어지게 된 임대차에서는 전세의 강세와 월세의 확산이 예상된다.
전반적인 투자성향은 더욱 단기 유동화 될 전망이다. 불안한 경기속의 저금리는 시중 자금의 성격을 계속 단기성 대금으로 바꾸고 있고, 이는 부동산 투자 풍속에도 반영되고 있다. 최근 문전성시를 이루는 분양권 열기처럼, 부동산 시장도 단기성 대금에 의한 쏠림현상이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
옥계공인중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