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버스 요금 단일화를 추진해 온 전주시와 완주군이 ‘지·간선제’ 도입을 놓고 또다시 진통을 겪고 있다.
전주시와 시의회는 지·간선제를 중심으로 한 시내버스 노선개편이 요금 단일화의 전제조건이 돼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완주군은 별개의 사안이라는 주장이다.
이처럼 지·간선제 문제가 요금 단일화의 걸림돌이 되면서 완주군이 의회 간담회와 주민 설명회를 잇따라 열기로 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완주군 관계자는 “시내버스 지·간선제 도입은 요금 단일화와는 별개의 문제로, 전주시가 이를 전제 조건으로 압박할 일이 아니다”면서도 “일단 27일 군의회 간담회에 이어 다음달 주민설명회를 열어, 의견을 들을 계획”이라고 지난 24일 밝혔다.
이에 앞서 전주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는 지난 22일 ‘전주·완주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추진 동의안’을 심의했으나 찬반 의견이 엇갈리면서 결국 다음 회기로 처리를 유보했다. 완주군이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시행 협약서’ 초안에 ‘지·간선제는 2015년 용역결과에 따라 2016년 상반기에 시범운행을 실시하고 문제가 없을 경우 2016년 하반기에 시행한다’며 단서를 달아 놓은 게 문제가 됐다.
시내버스 지·간선제에 대해서는 양 시·군이 요금 단일화 이후 용역을 거쳐 시행한다는 데 큰 틀에서 의견을 모았지만 도입 필요성과 시행방법 등에 대한 입장은 엇갈리고 있다.
전주시는 굴곡노선과 장거리노선에 따른 교통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지·간선제 도입이 요금 단일화보다 시민들에게 주는 체감효과가 더 크다는 주장이다. 시는 읍·면·동별 주요 지점을 잇는 간선과 각 마을에서 환승지점을 연결하는 지선으로 버스노선을 이원화 할 경우 버스 운행횟수가 늘고 이동거리와 시간이 줄어든다는 장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완주군의 확약을 받아 내년 지·간선제를 중심으로 한 노선개편 용역을 실시한 뒤 2016년 하반기에 전지역으로 확대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반면, 요금 단일화를 앞세운 완주군은 노인 등 교통약자들의 환승 불편과 노선개편에 따른 주민 혼란 등을 들어 지·간선제 도입에 신중한 입장이다. 지난 2004년 지·간선제를 도입했다가 불과 2주일 만에 군민들의 불편 호소로 환원조치된 사례도 부담이다.
완주군 관계자는 “예전과 달리 완주군이 예산을 분담하는 요금 단일화 협약에 지·간선제 도입 문제를 포함했다는 점에서 일정 부분 양보한 것”이라며 “지·간선제의 장점도 있는 만큼, 주민들에게 꾸준히 설명하고 시범운행을 통해 장점을 보여줄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간선제 시행을 확정하기 전에 시범운행을 통한 문제점 검토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완주군은 또 전주시와의 요금 단일화 협약에 실패할 경우 자체적으로 단일 요금제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전주시와 상관 없이 군민들에게만 요금혜택을 주는 방법을 따로 준비하고 있다”면서 “해당 조례 제정에 법적인 문제가 없다는 해석도 받아놓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