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전라선 일부 터널 철도 사고·화재대비 미흡

소화기·유도표시 없는 곳도

전라선과 호남선 내 터널 일부의 화재 대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터널의 특성상 화재 발생 때 구조와 구급이 어려운 점을 고려해 대응시설을 조속히 설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6일 새누리당 황영철 국회의원이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받은 ‘철도터널 내 사고 및 화재대응시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총 연장 1km 이상의 전라선(15곳)과 호남선(5곳) 터널 20곳 중 상당수 터널에서 방재설비가 미흡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라선의 경우 모두 15곳 터널 중 소화기와 대피로가 없는 터널이 각각 5곳씩이었고, 6곳에는 비상조명등이 없었다. 특히 유도표시등이 설치된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호남선은 소화기와 유도표시등, 비상조명등, 연결송수관은 5개 터널 모두에 설치돼 있었다. 하지만 대피로는 5곳 중 한 곳도 없었고, 방재구난지역은 3곳에만 설치돼 있었다.

 

황 의원은 “철도터널은 연장이 길어 사고 발생 때 구조와 구급이 매우 어렵다”며 “사고발생 때 대형 참사를 막기 위해 기본적인 주요 사고 및 화재대응 시설을 조속히 설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전라선과 호남선 내 15개 터널의 케이블이 난연성 제품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10월부터 시행된 철도시설안전 세부기준에 따라 1km이상 터널에 설치된 케이블은 난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전라선과 호남선 내 15곳 터널은 이 규정이 지켜지지 않았다. 특히 전국의 철도 노선 중 전라선(27.5km)이 난연성 케이블이 확보되지 않은 구간이 가장 많았다. 호남선은 10.1km 구간이 난연성 케이블이 아니다.

 

새누리당 김태원 의원은 “1km 이상 장대터널에 설치된 케이블에 난연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는데도 철도시설공단은 수년째 난연성 확보 계획도 없이 나 몰라라 하고 있다”며 “난연성이 확보되지 않은 케이블에 대해 조속히 난연성 확보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