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래도 불편하고 신경이 쓰이죠. 남성들이 부러운 점 중 하나입니다.”
직장인 이모 씨(26·여)는 버스터미널이나 고속도로 휴게소, 관광지 등에서 화장실을 찾을 때 밖에서 줄을 서 기다린 경험이 많다. 반면 인접한 남자화장실에서는 이 같은 현상을 거의 보지 못했다.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은 46㎡가 넘는 건물의 여자화장실에는 남자화장실보다 1.5배 많은 대·소변기 수를 갖출 것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한국화장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기준 전국 공중화장실의 남녀 화장실 대·소변기 수 비율은 1대 0.83에 불과하고, 특히 전북지역은 1대 0.67에 그치는 실정이다. 이는 여자화장실 대·소변기 확대를 담은 내용이 지난 2006년 해당 법률 개정 때 반영돼, 이후 지어진 건물에만 적용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전북도는 오는 2018년까지 42억7000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도내 14개 시·군 공중화장실의 여성 대소변기 수 비율을 현 1.5배에서 2배로 늘리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송하진 지사의 ‘여성 친화 3대 서비스’ 공약사업의 일환이기도 한 이 사업은 시·군의 공공시설(청사, 읍·면·동 주민센터)과 관광지 등의 주요 화장실을 대상으로 현장 실사 후 내년부터 시범 실시한 뒤 단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와 관련 전북도 관계자는 “대상이 될 공공시설은 아마도 시·군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해당 사업이 시·군청이나 읍·면·동 주민센터를 대상으로 실시된다면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주에 거주하는 직장인 이모 씨(59·여)는 2일 “시청이나 동사무소에 근무하는 여직원은 많지 않고 민원인 역시 줄 서서 기다릴 만큼 많이 찾는 경우는 별로 없을 것”이라며 “시범사업인 만큼 공공시설을 배제하고 정확한 실태를 분석해 관광지 위주로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모 씨(59·여)도 “시범사업이 공공시설에 실시된다면 당국의 사업 시행 편의가 주로 고려됐다는 의심이 들 것 같다”고 거들었다.
이에 따라 해당 사업 대상지 선정과 관련, 시민 대상 의견 청취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