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기혼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이 현격히 떨어지고, 자녀 양육환경도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해 정부·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개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는 전북도장애인종합복지관과 도내 11개 시·군 장애인종합복지관이 전국 최초로 실시한 기혼 지적장애인 생활실태 조사에서 확인됐다.
전북도장애인종합복지관은 지난 14일 강당에서‘전북지역 기혼 지적장애인 가구의 생활실태 및 삶의 질 향상’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앞서 도내 12개 장애인종합복지관은 지난 7월부터 한 달간 도내 지적장애인 156가구를 대상으로 생활수준·자녀발달 정도·양육환경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조사결과 지적장애인 가구의 81.4%가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이며, 전체 월 평균 가구수입은 104만원에 불과했다. 난방 중단·결식 등 물질적 궁핍을 경험한 비율도 41.7%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지적장애인 가구 내 여성의 73.4%는 자치단체나 사회복지시설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신기 지적장애인 여성 8명 중 한 명은 ‘자녀가 장애를 가질 수도 있다는 생각’에 두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양육에 필요한 교육경험도 낮았다. 전체 지적장애인 여성의 92.1%는 자녀양육에 필요한 교육기회를 제공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자녀 양육 때 가장 어려운 점을 묻는 질문에 21.4%가 관련 정보 부족을 꼽았다.
이에 따라 세미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지적장애인에 대한 직업재활 프로그램과 자녀 양육에 필요한 지원체계 확립 등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실태조사를 진행한 강승원 전북도장애인종합복지관 팀장은 “지적장애를 가진 부모들이 근로를 통한 소득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돼야 한다”며 “이들의 경제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맞춤형 직업재활 프로그램 보급·활성화가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김양옥 전북장애인복지문제연구소 소장은 “교육, 결혼, 자녀양육을 비롯해 의식주 문제 등 삶의 다방면에서 정부와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개입 없이는 장애인의 삶의 질 개선이 요원하다”면서 “각 자치단체나 교육청별로 관련 조례를 제정, 장애인의 생활여건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시점이다”고 말했다.
심정연 전북도장애인종합복지관 관장은 “도내 기혼 지적장애인 가구 생활실태 조사를 통해 이들의 사회·경제적 어려움이 극명하게 드러났다”면서 “기혼 지적장애인들을 위한 지원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정부, 자치단체, 사회복지시설 등과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