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 제408호 익산 왕궁리 유적이 한 꺼풀 더 베일을 벗는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24일 오후 2시 익산 왕궁리 유적 발굴현장에서 2014년도 발굴조사 성과를 공개한다.
익산 왕궁리 유적은 백제 무왕(600~641년) 때 조성된 왕궁성(王宮城)으로, 1989년부터 백제문화권 유적정비사업의 하나로 연차 발굴이 이루어져 왔다.
그동안 궁성과 관련된 궁장(성벽), 전각건물, 정원, 공방 터 등이 조사됐고 인장 기와, 중국제 자기, 연화문 수막새를 비롯한 중요 유물 6600여 점이 출토돼 학계의 주목을 받아왔다.
올해는 왕궁리 유적 동쪽 외곽부(6만1000㎡)에 대한 발굴 조사와 서쪽 복원, 정비 구간에 대한 추가 조사(4200㎡) 등이 시행됐다.
동쪽 외곽부 조사 결과, 내부토층은 대부분 고운 흙의 뻘층과 모래 성분의 사질 층으로 조성됐으며 이러한 양상은 남쪽으로 갈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는 과거 하천이었으나 현재 하천의 흔적만 남은 지형인 구하도(舊河道) 형성으로 인한 토층 양상으로 추정되며 해당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지질환경 분석을 통해 구하도 형성과 운용 시기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쪽 추가 조사는 서문지(西門址)를 포함한 남북 150m 구간에서 시행됐다.
이 구역은 1999년, 2007년 조사를 통해 그 규모를 확인한 바 있으며 이번 추가 조사를 통해 서문지를 처음 축조한 후, 1차례 개보수가 있었던 사실이 확인됐다.